/사진=네이버랩스
/사진=네이버랩스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력 고도화를 위해 GPU 수급 등 AI 인프라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엔비디아와 '피지컬AI' 동맹을 통해 GPU 6만장 분량을 추가 확보한 네이버는 내년에만 GPU 확보에 1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5일 김희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GPU를 포함한 전체 인프라 투자가 약 1조원 단위로 예상되고 있다"며 "2026년 이후로 피지컬 AI 공략 등 신규 사업 확대를 감안해 GPU에만 1조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네이버는 엔비디아와 국내 제조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AI전환(AX)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를 계기로 양사는 차세대 '피지컬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반도체와 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현장의 AI 활용을 지원한다. 이 일환으로 엔비디아는 네이버에 블랙웰 GPU 6만장을 공급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지난 2017년부터 네이버랩스를 통해 피지컬AI 관련 연구·개발(R&D)을 활발히 해오고 있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피지컬AI라는 개념이 나오기 전인 약 2017년부터 네이버는 관련 기술을 선행 연구를 해왔다"며 "핵심 경쟁력은 하드웨어 경쟁력보다는 소프트웨어 경쟁력이라고 판단해서 '아크'와 '어라이크'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집중을 해왔다"고 말했다. 아크는 다양한 제조사의 로봇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표준화된 로봇 운영체제(OS) 플랫폼이고, 어라이크는 초정밀 3D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로봇이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다. 

또 최 대표는 "해당 기술들은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자부를 하고 있고 이미 3~4년 전부터 본사 건물인 1784를 테스트베드로 활용해 로봇이 자유롭게 이동하고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실시간 제어되는 환경을 구축하면서 글로벌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이 같은 피지컬AI 기술력을 제조 플랫폼으로 확장하기 위해 AI 인프라 확충에 리소스를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AI를 기반으로 핵심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는 데 집중하는 한편, 중장기 성장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도 추가하며 글로벌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