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빅테크들이 유럽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AI 산업의 다음 중심이 점점 유럽 쪽으로 기울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구글은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9년까지 총 55억유로(약 9조3000억원)를 투입해 독일 내 AI 인프라를 대규모로 확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새 데이터센터는 프랑크푸르트 인근 디첸바흐에 들어서며, 이미 운영 중인 하나우 센터도 확장됩니다. 구글은 이번 프로젝트로 약 9000개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연평균 1조7000억원 규모 GDP 기여 효과를 예상했습니다.
특히 이 데이터센터들은 엔지로부터 공급받는 청정에너지 전력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구글은 2026년까지 독일 내 사업장의 무탄소 에너지 비율을 8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도 제시했습니다. 또 뮌헨의 '아르눌프포스트' 사무소를 비롯해 프랑크푸르트·베를린 지사를 잇따라 확장하며 현지 기반을 강화합니다. 라르스 클링바일 독일 부총리는 "독일을 AI 중심지로 육성하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환영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발 빠르게 움직였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포르투갈 시네스 지역에 100억달러(약 14조6000억원)를 투자해 새 데이터센터를 세웁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엔비디아, 데이터센터 개발사 스타트캠퍼스, AI 인프라 기업 엔스케일 등이 함께하며, 브래드 스미스 MS 사장은 "포르투갈이 유럽 내 '책임 있는 AI 개발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포르투갈은 유럽·아프리카·아메리카 대륙을 잇는 해저 케이블 허브로, AI와 데이터 전송의 핵심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도 가세했습니다. 최근 독일 도이치텔레콤과 10억유로(약 1조7000억원) 규모 투자로 세계 최초의 AI 산업단지를 뮌헨에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AI 스타트업 앤트로픽은 프랑스와 독일에 새 사무소를 열며 유럽 내 협력을 확대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이 같은 흐름을 뒷받침하기 위해 AI 관련 법을 간소화하고 투자 규제 완화를 검토 중입니다. 이제 유럽은 규제보다는 혁신을 앞세운 'AI 산업의 두번째 전장'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AI 인프라의 주도권이 더 이상 실리콘밸리만의 것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이 거대한 기술 투자 흐름이 유럽을 진짜 AI 허브로 바꿔놓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디즈니+ 프리뷰] 코지마 히데오 손잡은 디즈니, '데스 스트랜딩' 애니화...'공각기동대' 제작진 참여
- [지스타 25] 게임 축제 '지스타 2025' 개막...VIP들이 점 찍은 신작은?
- 리플 ETF 출시 임박...알트코인 투심 다시 몰리나
- [글로벌] 'AI 4대 천왕' 얀 르쿤, 메타 떠나 독립...차세대 '월드 모델' 연구에 올인
- [글로벌] AI 학습에 쓴 노래 가사, 저작권 침해로 인정...오픈AI, 독일 법원서 패소
- "역대 최대 분기 실적" 밀리의서재, 영업이익 43억원 기록...제휴고객 확대 영향
- "AI, 체계적으로 관리하자" 카카오뱅크, 'AI 프레임워크' 자체 도입
- [지스타 25] '아이온2'부터 '호라이즌'까지...글로벌 게임의 미래 선도하는 엔씨소프트
- 신뢰회복 나서는 SKT, 통신-AI 양대 CIC 체제 띄운다...전문성-효율성 강화
- [테크M 이슈] BTS 완전체에 뉴진스 복귀까지…하이브의 봄이 온다
- [디즈니+ 프리뷰] 日 애니메이션, 디즈니+ 성장 주역으로...대거 후속 시즌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