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금지 논란이 예상 밖으로 확산하고 있다. 택배업 종사자들이 속한 노동계 및 소상공인 단체에 이어, 이번엔 워킹맘·맞벌이 가정까지 반발 대열에 합류하면서 정책 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생계 노동자 보호 뿐 아니라 국민 일상 편의가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현실적 우려가 동시에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과 이에 동의하는 게시글이 잇따르고 있다.
해당 청원인은 "저녁 늦게 귀가하는 맞벌이 부모에게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마트가 모두 닫힌 밤에 아이들의 학교 준비물이나 아침 식사를 챙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새벽배송은 단순한 소비 문제가 아니라 가정의 행복과 건강, 육아와 교육을 지켜주는 삶의 기반의 문제"라며 "저희 같은 맞벌이 부부는 장보는 일조차 새벽배송이 없으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사실 최근 노동계와 정부가 검토 중인 심야 물류 근로 제한 방안이 알려지자 가장 먼저 목소리를 높인 것은 노동계였다. 전체 쿠팡 택배기사(퀵플렉서) 2만명 가운데 1만명이 소속된 국내 최대 규모의 택배유관 단체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민주노총이 주장하는 노동자의 해고는 살인"이라고 주장하면서 "심야 배송 택배기사들을 사실상 해고하려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택배업계에 따르면, 국내 택배기사는 약 10만여명 규모로 이 가운데 민주노총 택배노조 소속 기사는 10%가 채 안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노총 택배노조 쿠팡지회 소속 택배기사도 100~20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주요 택배기사 커뮤니티에서도 "야간 배송에 만족했는데, 바로 실직자가 되는 것이냐", "다수 택배기사에 물어보지도 않고 자기들 생각을 밀어붙인다"는 항의성 글이 쏟아지고 있다.
택배업계 관계자는 "민주노총이 택배기사의 목소리를 모두 대변한다는 생각은 어불성설에 가깝다"며 "택배기사 뿐 아니라 소비자와 소상공인, 정치권 등 다수가 반대하고 있는만큼 조속히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상공인 단체들 또한 일제히 "신선 식품 중심의 이커머스 경쟁에서 밀리면 오프라인 상권이 더 위축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한 상태다. 일부 신선식품 업계는 "재고 손실 증가와 물류비 급등이 불가피하다"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맞벌이 가정과 워킹맘들의 반발이 빠르게 확산하며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아이 등원 준비 때문에 새벽 배송이 아니면 사실상 주문이 불가능하다", "저녁에 장을 볼 시간 없는 직장인에게는 필수 서비스"라며 규제에 대한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영유아를 둔 가정일수록 "새벽배송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형 서비스"라는 주장이 강하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 역시 "배송 시간을 늦추거나 민주노총의 주장대로 시간 제한에 나설 경우 결국 낮 시간대 트래픽이 폭증해 배송기사, 운송, 포장센터 모두가 더 힘들어질 수 있다"며 "근무 형태 다변화·심야 근로 수당 현실화 등 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 가상자산 비중 축소...AI·스테이블코인 중심 투자로 재편
- 지그재그-에이블리, '블프' 대목 맞대결...연중 최대 혜택 뿌린다
- [해봤다] 게임 시장 휩쓸고 있는 큰형님 '넥슨'...'메이플키우기'로 게임성까지 잡았다
- 프리미엄 신선식품 강화나선 쿠팡..."새벽배송으로 고품질 식단 완성"
- [테크M 이슈] "택진이형이 돌아왔다" 기회 잡은 엔씨소프트...아이온2로 MMO 새판짜기
- 창작자 지원 다각화하는 네이버, UGC 확대로 'AI에이전트' 구상 힘 싣는다
- KT 리더십 교체, 티빙-웨이브 합병 새 변수 될까
-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마비노기 모바일', 스타필드 수원에 뜬다
-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신임 사장에 IBM 출신 루스 선 선임
- 카카오페이, 기부 마라톤 캠페인 '2025 롱런' 목표 '10억 걸음' 조기 달성
- [기자수첩] 새벽배송 금지? 그럼 3교대는요?
-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재태크 앱' 업비트, '코인모으기' 신규 이용자에 비트코인 쏜다
- [크립토 브리핑] 비트코인 1억3430만원선까지 하락...이더리움·리플 동반 약세
- "코인 과세 또 미뤄지나" 가상자산 투자 1000만명 돌파에도 핵심 규정 여전히 '공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