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인터넷전문은행 타이틀을 쥐고 있는 카카오뱅크가 드디어 기업공개(IPO)를 본격화한다. 현재 카카오뱅크의 장외시총은 무려 38조원. 전통 금융의 대표주자 KB금융의 시총 대비 2배에 달하는 몸값을 IPO 시장에서도 이어갈 수 있을지 여부에 귀추가 쏠린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카카오뱅크는 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를 통과, 상장 적격기업으로 인정받았다. 앞서 카카오뱅크는 지난 4월15일 상장예비심사서를 제출한 바 있다. 카카오뱅크가 이날 상장예심을 통과하면서 증권신고서 제출도 빠르게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오는 18일까지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경우, 중복청약 막차를 탈 수 있다. 다만 중복청약 없이도 IPO 흥행 가능성이 커 카카오뱅크가 속도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적지 않다.
국내 최초 인터넷전문은행으로 불리는 카카오뱅크는 은행 수익성의 기준인 순이자마진이 1.87%에 달할 정도로 탄탄산 내실을 갖췄다는 평가다. 지난 1분기에는 46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고, 1분기 말 총 자산은 28조6164억원에 달한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9.85%로 무엇보다 국내 금융권 내 1위 모바일 트래픽을 확보한 것이 강점으로 꼽힌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이용자수(계좌 미개설 서비스 이용 고객 포함)는 1615만명으로 2020년말 대비 70만명 가량 증가했다. 특히 연령별로는 50대 이상 이용자가 늘면서 카카오뱅크 이용자층이 전 연령으로 확대되고 있다.
전통 금융의 최강자 KB금융 대비 2배에 달하는 장외시총 탓에 고벨류 논란도 적지 않지만, '뉴머니'의 대표주자라는 상징성과 더불어 빠르게 외형을 확장하고 있어 최소 20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확보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금리 대출 확대를 비롯, 금융회사뿐 아니라 비금융사와도 연결을 통해 몸값을 끌어올리는 중"이라며 "40조원에 달하는 장외 몸값이 그대로 이어질 지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전통 금융의 시각을 뛰어넘는 IPO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IT진맥] 카카오표 넷플릭스가 곧 등장할 것 같다
- [카카오 시총 60조] ②네이버-카카오, 인터넷 대장주 '왕좌의 게임'이 시작됐다
- [카카오 시총 60조] ①돈 잘 버는 카카오…코로나19가 점화한 '로켓성장'
- [카카오 시총 60조] ③'카카오 패밀리'가 뜬다…자회사 기업가치 조단위 성장
- 카카오, 네이버 누르고 시총 3위...인터넷 대장주 '등극'
- "주주들 좋겠네" 겹호재 맞은 '넷마블'...카카오뱅크 IPO 효과 '눈길'
- 이번엔 카뱅 효과? 카카오, 또 신고가 뚫었다...코스피 3위 '굳건'
- 카카오뱅크부터 토스, 두나무까지...뉴머니 100조 시대 열렸다
- "4050도 반했네" IPO 앞둔 카카오뱅크...월이용자 '1300만 시대' 열었다
- 카카오뱅크, 중금리혁신법인에 2대 주주로 참여...대출시장 혁신 이어간다
- [뉴머니임팩트] ①카카오뱅크가 미운 여의도?...ROE-PBR로 옆구리 찌르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