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은 수영의 계절이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잡초의 계절, 풀과의 전쟁 시작
제초제부터 잔디가위, 잡초제거기 다 사용해봤지만
그냥 예초기 사는게 정답이다
뜨거운 여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예년처럼 더위를 피해 해수욕장이나 계곡으로 피서를 가고 싶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우리를 '집콕'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나마 초보전원러인 저희 집에는 마당이 있습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린 것처럼 정원에 수영장을 펴거나 데크에 분수매트를 펴면, 그래도 어느 정도 더위를 식힐 수 있습니다. 아이들도 물놀이를 하다보면 하루가 훌쩍 갑니다.
아무래도 전원주택에 살면서 가장 좋은 것이 바로 이런 마당에 수영장을 펼 수 있다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여름은 수영의 계절? 잡초의 계절!
그런데, 사실 전원주택을 관리하는 입장에서 여름은 그다지 좋은 계절은 아닙니다. 장마 이후에 쏟아지는 태양은 우리를 지치게 하지만, 잡초들에게는 생명수와 같나 봅니다. 정말 '역대급'으로 잡초들이 마당을 점령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정원을 만들었을떄는 골프장에서나 보던, 그런 아름다운 잔디를 가꾸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조금만 잡초가 보여도 바로 쪼그려 앉아서 잡초를 뽑아줬습니다. 첫 해에는 여름이 거의 지나고 입주했기 때문에 잡초와의 전쟁이라는 생각이 별로 안들었습니다. 주말마다 뽑아주면 어느 정도 정리가 됐습니다.
그런데, 이듬해 봄이 되자, 하나 둘씩 고개를 내미는 잡초를 보고 있자니, 무서워졌습니다. 토끼풀과 크로바가 정원을 완전히 장악할 것 같았습니다. 무언가 대책이 필요했습니다.
'쿠팡'으로 제초제를 사봤다, 효과는 확실히 있지만...
그래서 쿠팡의 도움을 받기로 했습니다. 정말, 전원주택에 살면서 쿠팡이 없으면 어떻게 살았을까 싶은 생각을 많이 합니다. 쿠팡에 없는게 없으니...굳이 철물점 같은 곳을 찾아갈 필요가 없습니다. 정말 '엄지 척'입니다.
처음에는 제초제를 생각했습니다. 봄이 시작되면서 풀들이 조금씩 자라나기 시작했으니, 제초제를 뿌려서 잡초를 싹 죽인다음 잔디를 관리해야 겠다는 '어리석은' 생각이었습니다. 그렇게 쿠팡 검색과 네이버 검색을 통해 '풀캅X'라는 친환경 제초제를 찾았습니다. 잔디와 나무에는 피해가 없으면서 잡초들만 싹 죽여준다는 정말 기적의 제초제였습니다.
다소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했지만, 그 정도는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잡초만 싹 죽여준다면...이틀만에 배송이 온 풀캅X.. 물뿌리개에 넣고 기대하며 잡초들에게 뿌렸습니다. 저의 정원이 꽤 좁은 편이라고 생각했는데...20리터 말통 하나로 부족하더군요. 효과를 살펴본 뒤에 더 주문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효과는 상당했습니다. 2~3일이 지나자 풀캅X를 뿌린 곳의 잡초들이 시들시들해지면서 죽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잡초와의 전쟁이 끝나는구나 싶었지요.
그런데, 풀캅X의 효과는 1달을 채 가지 못했습니다. 잡초들이 죽었던 그 자리에서, 바로 또다른 잡초들이 올라왔습니다. 또 풀캅스를 뿌려야 하나 고민했는데...이러다보면 끝이 없겠단 생각을 했습니다. 만만치않은 가격도 부담스러웠습니다.
서서 사용하는 잡초제거제와 가위, 쓸만하지만...
다른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 역시 쿠팡을 이리저리 검색해보니, 선채로 잡초를 뽑을 수 있다는 신박한 도구가 있더군요. 잡초에 대고 밟은 다음 뽑아주기만 하면 되는 아주 '신박한' 도구였습니다. 바로 주문 '고고' 했습니다.
쿠팡은 역시 쿠팡...이틀만에 또 도착한 잡초제거기. 이제 성능을 시험해보기로 했습니다. 잡체에 대고 발로 밟은 다음, 살짝 들어주니 바로 잡초가 뽑혔습니다. 쪼그려 앉아서 뽑는 것보다 훨씬 편했습니다. 이번엔 정말 쓸만한 아이템을 찾았다고 생각했죠.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이 잡초제거기로 쏠쏠하게 효과를 봤습니다. 하지만, 장마가 오니 잡초제거기로는 손쓸 수 없는 엄청난 일들이 벌어졌습니다. 잡초는 물론 잔디까지 엄청나게 쑥쑥 자랍니다. 정말 2~3일 만에 발목까지 자라는 잡초를 보고 있자니 한숨만 나오더라고요.
제가 매일 정원을 돌보는 농부라면 모를까...아침에 회사도 가야하고, 가끔 저녁 미팅도 있고 하니...사실 정원을 돌볼 시간은 평일에 하루 이틀 정도, 대부분은 주말입니다. 주말에 어디라도 다녀오면, 정말 정글처럼 무성한 정원을 보게 됩니다.
잡초제거기로는 답이 안나와서 서서 자를 수 있는 정원가위도 구매해봤는데, 이것도 금방 망가져서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이젠 정말 최후의 수단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인가...
그냥 '예초기' 사세요
마지막 방법은 역시 예초기겠죠. 군대에 있을때 기름 넣고 '덜덜덜덜'하면서 돌아가던 예초기가 생각났습니다. 넷플릭스를 강타한 영화 '스위트홈'에도 예초기를 사용하는 경비원님이 나오죠.
처음 이사왔을때, 이 정도 정원에 예초기가 필요하겠나 싶은 생각을 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1년만에 예초기를 구매할 수밖에 없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잡초때문에요...
마당이 있는 전원주택으로 이사가시는 분들, 그냥 예초기 사세요. 가위나 뭐 이런걸로 답 안나옵니다. 다음편 예초기 구매기와 사용기를 통해 쓸만한 예초기를 추천해볼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덜컥' 결정한 주택살이, 어디에 살 것인가(프롤로그)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 잊지말자 구분 등기, 벽을 잘 살펴보자...그리고 낮과 밤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2) 보관이사 괜찮을까...인테리어-조경 공사는 필요하니까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3) 인테리어-조경은 AS가 생명...그리고 벌과의 전쟁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4) 미니 수영장과 트램폴린, 축구골대와 텐트까지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5) 작년 여름, 퍼부은 장맛비에...1층에서 물이 떨어졌다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6) 누수 책임은 누구에게...외벽 자재, 어디까지 아시나요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8) 기름 냄새 나는 예초기는 가라...이제는 전기 예초기로 OK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9) 만만치 않은 계단 생활, 3층과 소통하려고 무전기를 샀다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0) 가을은 수확의 계절? 아이들은 흙과 모래...자연과 친해진다
- [MZ세대의 이사법] (1) "견적부터 이사까지 한번에" 이사 플랫폼 '짐싸' 이용기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1) 벌과의 전쟁...에프킬라와 배드민턴 라켓을 준비하자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2) 바베큐와 자율주행의 관계는? '웨버' 찾다가 만난 '포티투닷'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3) 김장 위해 무와 배추를 심자...텃밭의 시작은 비료와 멀칭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4) 계단생활에 와이파이 증폭기는 필수다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5) 가을 무 재배의 별미 '무청김치'를 만나보자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6) 찬 바람이 불면...고기 바비큐 대신, '석화구이'의 시간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7) 텃밭의 '백미'...가을 무와 배추를 수확하자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8) 김장의 시간... 배추김치와 섞박지, 그리고 동치미
- [IT기자의 전원주택 이야기] (19) 월동준비 하셨나요? 넉가래와 염화칼슘은 '필수'
- [IT기자의 전원주택이야기] (20) 산타가 주고 간 '닌텐도 스위치' 언박싱...'링 피트'로 다이어트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