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 첫 네이버 분기매출 넘어...NFT-메타버스로 글로벌 '공략'
여민수 대표 "상생안 추가 논의, 장기적 성장의 발판"
카카오가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인한 정치권의 전방위 공격에도 굴하지 않고 올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1.7조원에 달하는 분기매출을 거두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네이버의 분기 매출을 넘어섰다. 그렇다고 골목상권에서 벌어들인 것은 아니다. 네이버 콘텐츠 매출의 4배에 달하는 9600억원을 웹툰-웹소설-게임 등으로 확보하며 이젠 K-콘텐츠의 수출 교두보로 자리매김했다.
콘텐츠 수출 역군으로 '우뚝'...커머스 플랫폼 '훨훨'
카카오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7408억원, 영업이익 1682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8%, 40% 증가한 실적이다.
이같은 호실적은 증권가 예상치를 소폭 하회한 것이지만, 9월 들어 서비스 프로모션을 소폭 줄인 탓으로 추정된다. 실제 카카오의 3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7787억원에 달한다. 톡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4049억원을 기록했다. 비즈보드, 카카오톡 채널 등 광고형 매출의 안정적 성장과 함께 톡스토어, 선물하기 등 거래형 매출이 성장을 견인했다.
특히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9621억원에 달했다. 무려 1조원에 육박할 정도로 급성장을 보인 것이다. 카카오재팬과 카카오엔터테인먼트로 대표되는 스토리 매출은 플랫폼과 지식재산권(IP) 유통 거래액의 견조한 성장과 함께 타파스와 래디쉬의 편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성장한 2187억원을 기록했다.
가장 큰폭의 성장세를 보인 게임 부문은 4631억원을 기록, 양대 마켓에서 1위를 달성한 모바일 게임 ‘오딘’의 기록적인 성과로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했다. 뮤직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1971억원을 달성했으며 미디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한 831억원을 기록했다.
택시로 돈 번다? 상생 행보 박차...NFT-메타버스로 글로벌 공략
커머스로 대표되는 플랫폼과 콘텐츠 수출 덕에 호실적을 기록한 카카오는 사회적인 상생 요구에 적극 부응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천명했다. 사실상 카카오모빌리티 등 일부 법인의 적자 상황을 감수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여민수 카카오 대표는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현재 카카오 공동체는 파트너 상생을 위한 방식에 대해 논의를 하고 있다"며 "논의가 완료되는 대로 세부 계획과 이에 따른 영향을 공유드리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상생 비용 부담에 따라 단기적 영향있겠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각 플랫폼들이 파트너와 안정적 협력 관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며 "장기적으로 성장의 발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여 대표는 "다시 한번 파트너들과 함께 나아가는 나은 세상을 만들 것을 약속드리며 사회적 책임 다하는 모습 보여드리겠다"며 "차세대 기술 경쟁력 확보에도 앞장서며 상생과 혁신의 조화로 한 단계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 3분기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역풍을 맞았다. 논란은 카카오모빌리티가 공격적으로 몸집을 키우기 위해 소규모 택시회사와 대리운전법인 등을 사들이면서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이에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은 지난 9월 상생안을 마련하고 '혁신 사업을 중심으로 경영 전략을 재편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특히 김 의장은 골목상권 침해 가능성이 있는 업종은 철수하고 앞으로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며, 오해를 최소화해서 기존 성장방정식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대신 카카오는 글로벌 타깃의 신사업 확장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배재현 카카오 수석부사장은 "메타버스, NFT는 카카오 공동체 내에서 역량을 집중시켜 메타버스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며 "그라운드X의 기술력과 카카오 내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검토 중이며, 자세한 내용은 확정되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카톡으로 손쉽게 로그인...내년부터 포털 다음 계정 '카카오'로 통합
- "플랫폼·콘텐츠 날았다" 카카오 3Q 영업익 1682억, 전년 比 40% '쑥'
-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럭셔리 브랜드 '멀버리' 뜬다
- 골목에서 나온 카카오, 3Q 콘텐츠 매출 1조 육박...'네이버' 넘어섰다
- [컨콜] 여민수 카카오 대표 "상생과 혁신의 조화로 성장할 것"
- 메신저 넘어 일상으로...카카오톡, 1년새 신규이용자 100만 또 늘었다
- [컨콜] 질주하는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T 이용자 3000만명, 가맹택시 3만대”
- [컨콜] '이젠 생활 필수품' 카카오톡 지갑, 가입자 2600만명 넘었다
- [컨콜] 쾌속성장 카카오 '픽코마'..."연내 프랑스 진출"
- [컨콜] 잘나가는 '카카오뷰'..."출시 3달만에 채널 2만개 생성"
- 日 정복한 카카오재팬...'픽코마' 앞세워 유럽 대륙 흔든다
- "게 섯거라 코인베이스" 두나무, BTS NFT 만드는 이유
- "웹툰·웹소설이 효자네"...골목 탈피한 카카오, 스토리가 이끈다
- 신인 작가 발굴 힘주는 카카오엔터, 단편 웹툰 공모전 연다
- "웹툰 불법유통 이제 그만"...카카오엔터 등 7개사 칼 빼들었다
- 상장 앞둔 카카오엔터의 꿈...이진수 대표 "스토리 거래액 3배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