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서울 도심 다회용컵 서비스' 참여
시범사업으로 1회용컵 120만개 절감 목표
내년 1월말까지 시범사업 거치며 보완, 서울시 전역 확대 계획
SK텔레콤은 서울특별시와 재단법인 행복커넥트가 공동 추진하는 '서울시 다회용컵 시범사업'에 참여한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오는 6일부터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시청 인근 중구, 종로구 지역 커피전문점 20여곳에서 다회용컵 서비스를 시작한다. 시청역, 광화문역, 종각역, 을지로입구역 인근 커피전문점들이 다회용컵 적용 시범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시범매장에서 음료를 구매하는 고객은 보증금 1000원을 내고 다회용컵을 선택하고, 음료를 받아 매장 안팎에서 자유롭게 이용한 뒤 무인 다회용컵 반납기를 통해 보증금을 환급 받을 수 있다.
무인 다회용컵 반납기는 시범사업 참여 커피전문점 매장은 물론 서울시청 로비, 을지로 SKT타워 등에도 설치된다. 고객이 투입한 다회용컵이 지정된 컵이 맞는지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한 뒤 보증금을 현금 또는 포인트로 돌려준다.
반납된 컵은 다시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독·고압세척·살균건조 작업을 거쳐 다시 커피전문점 매장에 공급한다. 다회용컵 이용 가능 매장과 반납기 위치 검색, 포인트 적립은 친환경 앱 ‘해피해빗’을 통해 가능하다.
AI 등 전문 역량 갖춘 파트너사들과 협업체계 갖춘 SKT
아울러 SK텔레콤과 행복커넥트는 다회용컵 사용을 보편화하는데 어려움으로 꼽히는 반납·수거·세척 프로세스를 갖추기 위해 AI, 세척, 자원순환 등에 전문 역량을 갖춘 파트너사들과 협업체계를 갖췄다.
SK텔레콤은 무인 다회용컵 반납기가 지정된 컵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비전 AI(Vision AI) 기반의 데이터 적재·학습·배포 작업을 맡았다. 이에 따라, 무인 반납기는 보증금 환불이 가능한 다회용 컵의 판별이 가능하며, 이물질·잔여음료·뚜껑 등을 인식해 컵 적재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을 최소화하는 기능 또한 제공하고 있다.
이준호 SK텔레콤 ESG추진담당은 "다회용컵을 사용하고 회수하는 과정에 적용된 AI 분석 기술 등 다양한 ICT 솔루션을 지속 개선해 모든 서울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강종렬 SK텔레콤 ICT 인프라 담당, 사장 승진...SK텔레콤-SK스퀘어 임원 인사
- SK텔레콤, '누구 돌봄 케어콜'로 독거 어르신 안부 확인한다
- 5G 가입자 1800만 돌파...알뜰폰 가입자도 연내 1000만 돌파 전망
- "AI부터 메타버스까지" SK 미래 정보통신기술(ICT) 114개 한곳에서 만난다
- "군인 장병 잡아라" 통신3사, 군인 통신비 할인경쟁 나섰다
- "보상금 타격 NO!" KT 3Q 어닝서프라이즈에 배당 기대감 'UP'
- SK텔레콤, 3분기 영업이익 4000억원...전년 동기 대비 11.7% '쑥'(1보)
- "통신 끌고 신사업 밀고" SKT, 분할 전 마지막 실적도 날았다(종합)
- "김포공항에서 강남까지 10분만에" SK텔레콤, UAM 기반 에어택시 실증 성공
- 전국으로 확산중인 SK텔레콤 '해피해빗'...다회용컵, 부산서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