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 티맵모빌리티와 함께 수도권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상용화를 위한 운용모델을 11일 선보였다.
SK텔레콤과 협력 기업들은 김포국제공항에서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공항 실증'을 통해 '에어택시'로 불리는 UAM의 서비스·인프라·기체·연구분야 관련 핵심 역량을 종합적으로 입증했다.
이날 SK텔레콤은 김포국제공항 외부 상공을 3분 가량 선회한 UAM 조종사와 지상통제소 사이를 상공과 지상 이동통신망으로 안정적으로 연결했다. 또 SK텔레콤은 K-드론시스템과 연계한 자율비행 드론 관제에도 성공,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공항을 이용하는 항공기와 UAM부터 무인비행체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실증했다.
이와 함께 티맵모빌리티는 도심교통과 UAM을 편리하게 연계하는 차세대 모빌리티 플랫폼을 선보였다. 실증 현장에는 UAM을 타고 비행한 승객의 착륙시간에 맞춰 배정된 환승 차량이 도착하는 장면이 가상현실(VR)로 구현됐다. 티맵모빌리티는 빠르고 편리한 예약 방식 및 안전한 탑승 프로세스가 UAM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할 것으로 보고, '티맵', '우티' 등을 통해 축적된 역량에 기반해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을 선보일 계획이다.
SK텔레콤과 협업하는 'K-UAM 드림팀' 파트너사인 한국공항공사와 한화시스템도 앞선 기술력을 선보였다. 한국공항공사는 UAM 공항 실증을 수행함과 동시에 UAM-항공기 통합 관제 시스템, 비즈니스 항공 터미널을 활용한 미래 버티포트를 구현했다. 한화시스템은 최대시속 320km/h로 안전하고 빠르게 비행하는 5인승 에어 모빌리티 기체 '버터플라이' 실물 모형을 전시했다.
이에 정부는 오는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수도권 공항셔틀 서비스 실증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포공항을 중심으로 서비스하는 노선은 티맵모빌리티의 애플리케이션(앱) 기반 예약 및 연계교통 탑승, SK텔레콤의 상공망 통신 기술을 활용한 UAM 운항 및 교통관리 인프라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특히 UAM 산업이 고도화되어 원격 관제 또는 자율주행 형태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항공교통 통신망 구축과 운용이 점차 중요해질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안정적인 망 운용 역량을 바탕으로 지상과 상공을 연결하는 통신기술을 지속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SK텔레콤의 앞선 통신 및 디지털 인프라를 바탕으로 UAM 산업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해 교통혼잡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 없는 친환경 교통수단 정착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SK텔레콤, AI 기술로 서울 도심 일회용 플라스틱컵 줄인다
- 민간 주도 메타버스 대표 사업자 단체 출범..."메타버스 산업 위한 주도적 역할 수행할 것"
- SK텔레콤, 3분기 영업이익 4000억원...전년 동기 대비 11.7% '쑥'(1보)
- "통신 끌고 신사업 밀고" SKT, 분할 전 마지막 실적도 날았다(종합)
- 통신3사 '5G-신사업' 쌍끌이로 3분기 연속 영업익 1조 돌파…망품질 이슈는 '숙제'
- 티맵, 위드코로나에 일 사용자 수 신기록 돌파...일 사용자 수 484만
- 티맵모빌리티, 토스 전략담당 출신 김유리 CPO 영입
- "카카오 게섯거라" 단일앱으로 재출항하는 '우티'...원팀 시너지로 시장 점유율 높일까
- 우티 앱에 직접 결제 기능 도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