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관 네이버 플랫폼 랩스 책임리더
김성관 네이버 플랫폼 랩스 책임리더

 

네이버가 글로벌 진출을 위한 키워드로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꼽았다. 클라우드 기반 환경으로 개발한 서비스는 다양한 지역과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글로벌 진출이 수월하다는 판단에서다.

김성관 네이버 플랫폼 랩스 책임리더는 24일 온라인으로 열린 네이버 개발자 콘퍼런스 '데뷰(DEVIEW) 2021'에 기조연설자로 나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책임리더는 "수십 만 개의 컨테이너를 운영하고, 쿠버네티스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수백 페타바이트(PB) 스토리지를 컨테이너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면서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네이버의 주요 서비스와 오픈 소스를 포함한 사회 플랫폼이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진화하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현재 20만개 컨테이너가 운영 중이며, 2019년 대비 연간 두 배씩 고속 성장하고 있다. 더불어 한국 뿐 아니라 일본, 독일, 싱가폴, 미국 등 글로벌 거점 지역에 플랫폼이 설치돼 네이버 서비스들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고도 했다. 

김 책임리더는 "클라우드 네이티브한 서비스들은 글로벌 서비스로 쉽게 확장할 수 있다"면서 "비즈니스 환경 변화, 사용자 트래픽 변화 등에 빠르게 대응하고 서비스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 책임리더는 픽스쳐 몽키(Fixture Monkey)라는 새로운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공개하기도 했다. 그는 "개발자가 테스트 케이스를 직접 작성하기 힘든 '엣지 케이스'를 쉽게 생성하고 자동화할 수 있는 만큼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