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넷플릭스
사진=넷플릭스

지난해 '오징어게임'으로 최고의 한해를 보낸 넷플릭스가 2022년에도 한국산 콘텐츠를 가져다가 세계시장에 알리겠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5년만의 가격인상 카드를 꺼내들 정도로 자신감이 넘치는 넷플릭스는 올해도 K드라마, K영화에 올인할 기세다. 


오징어게임으로 웃은 넷플릭스...올해도 '韓 콘텐츠 25종' 수출합니다

19일 넷플릭스는 올해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국내 론칭 이래 역대 최대 규모인 25개 콘텐츠 라인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다양성을 최우선 가치에 두고, '오징어게임', '지옥'의 연이은 흥행으로 '장르물'만 잘한다는 편견도 과감하게 깨부수겠다는 의지다.

이날 행사를 주도한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총괄 부사장(VP)은 "지난해 넷플릭스에서 한국 콘텐츠를 시청한 전 세계 회원들의 시청 시간이 2019년 대비 6배 이상 증가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의 약 500만 유료 구독 회원분들이, 오직 넷플릭스에서만 만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만끽하고 계신다"며 "넷플릭스는 한국 창작자들과 함께 올 한 해 25편 이상의 새로운 한국 오리지널 작품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지난해 대비 10편이나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담감보다는 기대에 차있다. 지난해 성과를 총평해보자면 꿈만 같은 한 해였다"며 "한국 들어와서 한국 창작 생태계와 협업한지 수년이 지났다. 많은 관심과 사랑 받아온 작품들도 있었는데, 작년은 '오징어 게임', '지옥', '마이 네임', '고요의 바다' 등이 정말 전 세계에서 엄청난 사랑을 받았다. 한국 콘텐츠 시청 시간이 6배 늘어난 것은 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엄청난 성과"라고 덧붙였다. 

이어 강 VP는 "넷플릭스의 차별화 전략은 많다. 우리는 경쟁 안에서도 자신있다. 우리가 한국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발맞춰 라이센싱, 제작 등 협업을 한지 6년이 지났다"며 "그때는 가능성을 보고 시작했지만 지금은 가능성과 예상을 넘고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그동안 보여준 궁합을 보면 한국 생태계와 가장 잘 발 맞춰 커나갈 수 있는게 넷플릭스 아닐까 싶다"라고 자신했다. 디즈니 플러스와 한국 진출이 예상되는 HBO 등과의 경쟁에서도 압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엿보인다.

사진=넷플릭스 제공
사진=넷플릭스

 


이정재 잇는 새 한류스타는? 드라마 이어 '예능-영화' 스타도 미국가자 

이날 강 VP는 "그동안 드라마쪽에 집중했다면, 작년에 성공을 거둔 '먹보와 털보', '솔로지옥'도 그렇고 올해도 예능 계속 제작하는 걸 이어갈  것"이라며 "모럴센스를 필두로 최초로 기획과 제작 참여한 오리지널 영화들도 나온다. 굉장히 큰 기대하고 있으니 눈여겨 봐달라"라고 당부했다. 

실제 이날 넷플릭스가 공개한 콘텐츠 중에는 드라마 외에도 ▲모럴센스 ▲카터 ▲서울대작전 ▲정이 ▲20세기 소녀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도 포함됐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가 직접 제작한 예능 콘텐츠 '셀럽은 연애중'를 비롯해 장르 차별화에도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전체 물량 면에서도 과거의 상황과는 사뭇 다르다. 넷플릭스는 올해 25편 이상의 한국 콘텐츠 론칭 계획을 밝혔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10편이나 늘어난 풍성한 라인업이다. 넷플릭스에서만 즐길 수 있는 독창적인 소재와 시청자들의 높은 눈높이를 만족시킬 완성도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각오다. 

기존의 강점인 K드라마 또한 '오징어게임'을 잇는 글로벌 흥행작 발굴을 위해 김혜수(소년심판), 김희선(블랙의신부), 지창욱(안나라수마나라), 하정우(수리남), 김우빈(택배기사) 등 한국을 대표하는 톱배우를 모두 모았다.  

이에 대해 강 VP는 "지금까지는 장르물에 편중됐다면 올해는 '모럴센스', '안나라수마나라' 등이 있다. 넷플릭스가 이런 것도 하나 싶은 다양한 장르 콘텐츠를 선보이는 게 목표다. 궁극적으로는 최대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선사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