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가 창사 이래 연간 연결실적 기준 최대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는 역대급 성과를 거뒀다. 아울러 위메이드는 가상자산 위믹스가 특정 금액에 다다를때까지 주기적 소각을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적용 연결 재무제표 기준 위메이드의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344% 증가한 약 5610억원, 영업이익은 약 3260억원, 당기순이익 약 4852억원을 각각 달성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략적 투자 지분의 공정가치 평가손익 증가 등이 반영됐다. 4분기 매출액은 약 3524억원, 영업이익은 약 2540억원, 당기순이익 약 425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번 분기는 '미르4 글로벌' 매출 온기 반영 효과 및 위믹스(WEMIX) 유동화 매출 반영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6% 큰 폭으로 상승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을 기록했다. 위메이드는 2021년 성과를 바탕으로 주주이익 환원 정책 차원에서 주당 650원의 배당금을 결정했다.
2022년 위메이드는 ▲위믹스 플랫폼 100개 게임 온보딩 ▲블록체인 디파이(DeFi) 서비스의 확대 ▲블록체인 및 메타버스 기업 전략적 투자 등 사업 확대를 지속할 전망이다. 또한 위메이드는 위믹스 분기 보고서(WEMIX Quarterly Report) 공지와 위믹스의 소각 계획을 공개했다.
위믹스 생태계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위믹스 가격이 200달러(약 24만원)에 도달할 때까지 매 10달러 상승할 때마다 총 발행물량의 1%를 소각할 계획이다. 즉 누적적으로는 총 발행 물량의 20%를 소각한다. 지금까지 위믹스 가격이 24달러가 최고가였던 점을 고려, 가까운 시일 내에 총 발행물량의 2%를 소각할 방침이다.
아울러 위메이드맥스의 2021년 연간 매출액은 약 355억원. 영업이익 약 4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실적은 전분기 대비 23% 증가한 약 94억원, 영업이익은 약 6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위메이드맥스는 지난해 11월 미르4 개발사 위메이드넥스트를 자회사로 편입, 게임 개발 역량 및 M&A플랫폼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계열사 라이트컨은 SF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라이즈 오브 스타즈(ROS)'를 위믹스에 온보드해 1분기 글로벌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지난해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와 미르4의 큰 성공을 바탕으로 창사 이래 최대의 매출을 달성했다"며 "지금은 거대한 흐름의 극초기단계로, 위메이드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일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실행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위메이드, 위믹스 유동화 잠정 중단..."시장 안정 기다린다"
- 위메이드, NFT 유동화 서비스 하이프솔트에 전략적 투자
- 가상자산으로 스포츠 승부예측...위메이드-NHN빅풋 '프로젝트 위믹스 스포츠' 만든다
- 블록체인 게임 매출 정말 잘 나오나...게임사 실적 시즌 시작, P2E에 쏠린 눈
- 위메이드 GDC 전격 참가, 메타-AWS와 나란히 선다...위믹스 글로벌 확장 '야심'
- '고맙다 미르4, 위믹스'...위메이드, 지난해 영업이익 3259억원...역대 최대 실적(1보)
- '역대급 실적' 위메이드, 4분기에만 3500억 벌었다...'미르4' '위믹스 유동화' 덕분
- 장현국 위메이드 "위믹스로 월급 받겠다...위믹스는 위메이드의 모든 것"
- 증권가 예상을 깬 위메이드의 4Q 실적...엔씨소프트 연간 순익도 '위협'
- [테크M 이슈] 배그 다음은 미르4...위메이드 위믹스 '600만명' 즐겼다
- 장현국 위메이드 "미르4 노하우 더한 미르M이 성과 더 좋을 것"
- 장현국 위메이드 "플랫폼은 승자독식...다른 게임사가 위믹스 역전? 불가능할 것"
- 위메이드 가상자산 '위믹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겟 상장
- 위메이드, 1~2주내에 가상자산 위믹스 2% 소각한다
- 美 등판 앞둔 위메이드 위믹스, 첫 소각 나섰다...1300억원 규모
- 위메이드, 위믹스 첫 소각 완료....2000만개 태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