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C 발표에 나선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왼쪽) / 사진=이성우 기자 
GDC 발표에 나선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왼쪽) / 사진=이성우 기자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가 게임개발자콘퍼런스(GDC) 2022에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플레이 앤 언(P&E) 게임' 플랫폼 위믹스를 소개했다. 그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게임의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게임의 진화는 무엇도 막을수 없다고 강조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열린 게임개발자콘퍼런스(GDC) 2022에서 장현국 대표는 '플레이 앤 언: 블록체인 경제를 통한 게임의 전환'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장 대표는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게임 개발자들와 게이머들의 오해를 풀기 위해 무대에 섰다며 발표를 시작했다.


크립토 블록체인 게임 vs. 게임사의 블록체인 게임

장 대표는 "플레이 투 언(P2E) 게임은 지난해 게임업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키워드 중 하나였다"면서도 "하지만 실제로 게임을 만드는 많은 개발자들은 이 현상에 대해 매우 침착하다"고 말했다. 특히 전통적인 게임 개발자들은 P2E를 부정적으로 보았다는 것. 이에 일부 게임사와 게임 개발자들은 절대 가상자산이나 NFT를 게임에 적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에 장 대표는 그는 "엑시인피티니 같은 게임은 놀이가 아니라  노동이나 일 쪽으로 더 가깝다"며 "그래서 P2E는 제가 선호하는 용어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 대표는 P2E라는 용어 대신 블록체인 게임, 혹은 플레이 앤 언이라는 말이 더 적합하다고 전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왼쪽) / 사진=이성우 기자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왼쪽) / 사진=이성우 기자 

장 대표는 "블록체인 게임에는 크게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며 "크립토에서 시작해서 만든 블록체인 게임, 다른 하나는 게임부터 시작해서 게임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엑시 인피니티는 크립토에서 시작한 가장 성공적인 경우이고, 미르4는 그 반대라는 것이 장 대표의 설명이다.  미르4는 게임으로 시작해 블록체인을 적용, 성공을 거뒀다.

장 대표는 "이 두 가지 접근법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며 "크립토에서 시작된 게임은 플레이어의 흥미를 끌지 못하지만,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플레이어들은 게임을 일처럼 여기고 돈을 벌 수 있다. 반면 잘 만들어진 게임으로 시작된 블록체인 게임들은 경제적 보상은 크지 않지만 그 자체적인 재미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블록체인 경제 구축한 미르4...패러다임의 전환

이어 장 대표는 "블록체인 게임은 게임과 블록체인 이코노미의 결합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그 성공은 웰메이드 게임이 블로체인 이코노미를 얼마나 잘 적용했는지에 따라서 판가름 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웰메이드 게임 미르4에 게임코인과 NFT, 디파이(DeFi)를 구현해 블록체인 경제를 적용했다"며 "블록체인 경제를 적용한 미르4는 전례없는 세계적인 성공을 거뒀다"고 전했다. 다른 게임사들이 블록체인 사업을 포기할 때, 포기하지 않고 사업을 이어온 것에 대한 성과라는 설명이다. 

GDC 참가자가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에게 질문하고 있다. / 사진=이성우 기자
GDC 참가자가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에게 질문하고 있다. / 사진=이성우 기자

장 대표는 "올해 말까지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를 통해 약 100개의 게임을 출시할 예정"이라며 "이후 위믹스 플랫폼을 오픈 플랫폼으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게임 개발자 누구나 위믹스 플랫폼을 활용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어 그는 "초기 시장 퍼스트 무버의 선점효과(어드벤티지)를 누리라"며 "이는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강조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게임경제가 현실경제로 나오는 것 자체가 혁신적이란 것이 장 대표의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장 대표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으면 좋겠다"며 "게임이 진화하는 것은 누구도 막을 수 없는 현상"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이번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의 GDC 2022 발표 세션은 테크M 기자들의 유튜브 채널인 '게코, 돈냄새 맡는 기자들'을 통해 생중계 됐다. 다시보기 영상도 제공된다.

샌프란시스코(미국)=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