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4명으로 구성된 우주여행팀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했습니다. 이번 여행은 전문 우주비행사가 동반하지 않은 순수 민간인의 장기간 우주 여행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9일 외신에 따르면, 민간인으로 구성된 우주여행팀이 이륙한 지 약 21시간 만에 ISS 도킹에 성공했습니다. 이번 우주 여행은 미국 우주관광 스타트업 '액시엄 스페이스'가 주도한 임무 'Ax-1'의 일환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이 이용한 로켓과 우주선 역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에서 제작한 것입니다.
구성원은 전원 모두 순수 민간인으로만 이뤄졌습니다. 미국 기업가 래리 코너와 캐나다 투자사업가 마크 패시, 전 이스라엘 공군 조종사 에이탄 스티베가 참여했습니다. 또 과거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비행사였던 마이클 로페즈 알레그리아 엑시엄 부사장이 우주선 사령관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번 우주관광에 대해 마이크 서프레디니 엑시엄 최고경영자(CEO)는 "일반인도 우주에서 의미있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첫 발을 내딛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우주여행팀은 ISS에서 8일간 총 100시간에 걸쳐 암 줄기세포 연구, 공기 정화 등 25가지 실험을 수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460개의 센서가 장착된 뇌파 측정 헬멧을 교대로 착용하면서 인지 기능을 측정합니다.
이들은 다양한 실험 진행을 위해 앞서 여러 훈련을 받았습니다. 래리 코너는 "지구에서 10~15시간 훈련을 받고 우주에서 5~10분 여행하는 우주관광과 달리 우리는 최대 1000시간의 훈련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여행은 NASA가 ISS를 개방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NASA는 2019년 한 해 30억달러(약 3조6900억원)에 이르는 운영비 절감 등을 위해 ISS를 민간에 개방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IT 매체 더버지는 "액시엄의 이번 비행은 ISS의 민간 사용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면서도 "막대한 비용으로 인해 우주관광의 본격화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액시엄의 우주비행 왕복 표 값은 한 장당 5500만달러(약 678억원)로 알려졌습니다. 또 NASA에 따르면, ISS의 이용요금은 1인당 하루에 2만2500달러(약 2770만원)에 달합니다.
민간인의 우주여행 시대 개막을 위해 비용 절감 방안도 마련돼야 할 것 같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우크라이나 침공, 전세계 우주 산업에 '불똥'...英 "러시아산 로켓 발사 금지"
- [글로벌] 우주 성관계 금지하던 NASA..."무중력 성관계 연구하겠다"
- [글로벌] '우주 협박'에 흔들리는 NASA..."러 연방우주국 자극마라"
- [글로벌] 러시아, 국제우주정거장 협력 중단하나..."제재 해제해야 관계 회복 가능"
- [글로벌] 아마존, 우주 인터넷 사업에 시동 걸었다...로켓 발사 기업들과 위성 계약 체결
- [글로벌] 차세대 우주망원경, 결국 이름 바뀌나...제임스 웹 성소수자 탄압 증거 나왔다
- [글로벌] 무게도 알 수 없는 작은 달 먼지, 무려 6억원에 낙찰됐다
- [글로벌] 보잉, 5월 유인 우주선 시범 비행 나선다...스페이스X 대항마 될까?
- [글로벌] 엔진 점화 실패한 中 첩보 위성, 목표 궤도 변경한 이유는?
- [글로벌] 일곱번째 행성 '천왕성' 베일 벗나...10년 안에 탐사 본격 시작한다
- [글로벌] 헬리콥터로 소형 발사체 낚는다...美 로켓랩, 부스터 회수 임무 진행
- [글로벌] 달 토양에 물과 영양액 줬더니...식물 재배 실험 성공했다
- [글로벌] 中 "내년 중 관광용 우주선 발사"...우주 관광 산업 경쟁 본격화
- [글로벌] 프랑스 스타트업, 2025년 '럭셔리' 우주 관광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