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가 가상자산 거래소 설립을 위해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들과 연이어 손을 잡고 있는 가운데, 국내업계에선 "동등한 경쟁 환경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당국의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22일 부산에서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축제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pbit Developer Conference·UDC)'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일부 지자체와 바이낸스 등 해외거래소간의 제휴, 그리고 이들의 국내시장 진입 여부에 대해 가능성이 실제 있을지 모르겠다"면서도 "설사 그들이 들어와도 업비트의 강점이 상당해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부산시는 바이낸스와 FTX, 후오비글로벌 등 해외에 법인을 둔 외국계 거래소와 연이어 제휴를 체결하고 국내 시장 진출을 돕겠다고 밝힌 상태다. 하지만 이들은 국내에선 불법인 선물 및 파생상품을 중심으로 거래량을 쌓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에 서버를 두지 않을 경우, 해킹 등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적지 않은데다 이들 중 상당수가 본사를 조세회피처에 두고 있어 시장의 우려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시중은행들이 투자자 보호를 명목으로 은행 입출금 계좌를 일부 대형 거래소에만 제공하고 있어, 해외 거래소의 진입을 막아야한다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그들이 국내에 진출한다면, 저희도 똑같은 수단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저희도 해외에 나가서 외국인들을 받을 수 있는 입장이 돼야 동등한 경쟁이 될텐데 아직은 그런 상황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도 부산시 등 지자체에 채용을 늘리고, 여러 아이디어를 지자체와 공유할 계획"이라며 "UDC를 부산에서 개최한 것 또한 비슷한 맥락"이라고 부연했다.
특별취재팀(부산)=이수호 기자(팀장), 허준 기자, 이성우 기자, 김가은 기자
관련기사
- [크립토 브리핑] 美 3연속 '자이언트 스텝'에 힘 빠진 코인시장…전망도 암울
- [UDC 22] 폴리곤 "웹 3.0 확장 핵심은 개발자 성공...개발자 교육에 집중"
- [UDC 22] 두나무가 꼽은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스마트계약-레이어2-인터체인'
- [UDC 22] UDC에 뜬 이더리움 킬러 '솔라나', NFT 생태계에 힘 싣는다
- [UDC 22] 이석우 두나무 대표 "1위 경쟁력은 투명성-안정성, 초심 집중할 것"
- [UDC 22] 두나무 'BTS-아리아나 그란데 NFT' 해외에 수출한다
- [UDC 22] 카르다노 "웹 3.0 시대는 시기상조, 간결성·안정성이 중요"
- [UDC 22] ESG 힘 쏟는 두나무...이석우 대표 "정무적 차원? 韓 청년을 위한 것"
- [UDC 22] 박세준 티오리 대표 "웹 3.0 시대, 맞춤형 보안이 필요"
- [UDC 22] 두나무 업비트에서 '자금세탁'이 불가능한 이유
- [UDC 22] 온체인데이터, 코인 투자 넘어 웹 3.0 길잡이로 '우뚝'
- [UDC 22] 휴식공간에 무료 간식·게임기까지, '네트워킹의 장' 열렸다...UDC 이모저모
- [UDC 22] 수익보단 대중화...'한국판 컨센시스' 꿈꾸는 '람다256'
- [UDC 22] 웹 3.0 시대의 이사회 'DAO'...제도화 앞서 규제 이슈 풀어야
- [UDC 22] 부산에 모인 '스마트 컨트랙트' 강자들, 전략도 '각양각색'
- [UDC 22] 블록체인으로 달아오른 부산항...'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 둘째날 출항
- [UDC 22] 6년차 블록체인 기업 수퍼트리...웹 3.0 대신 '데이터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