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미국 인터넷 뉴스매체 버즈피드가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협력해 맞춤형 콘텐츠 및 퀴즈 기능을 향상시킨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당사의 주요 업무인 기사 작성에는 AI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입니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버즈피드의 조나 페레티 최고경영자(CEO)는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2023년에는 AI가 버즈피드의 편집과 경영에서 더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AI로 퀴즈 기능을 발전시키고 콘텐츠 브레인스토밍과 개인화 부분에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WSJ는 버즈피드가 새로운 AI 기반 퀴즈 기능을 이용해 맞춤형으로 가상 로맨틱 코미디 영화 줄거리를 생성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갖고 있는 사랑스러운 결함을 알려달라', '가장 좋아하는 로맨틱 코미디 줄거리를 알려달라' 등의 질문을 제시한 뒤 나온 답변을 통해 AI가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어 공유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페레티 CEO는 이외에도 다양한 콘텐츠 분야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메모를 통해 "AI는 크리에이터와 함께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를 정의하는 주요 트렌드 중 하나"라고 말하며, 향후 15년 안에는  AI 기반 큐레이션에 그치지 않고 AI 기반 콘텐츠 창작까지 나아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페레티CEO는 뉴스룸에서는 기존에 해왔던대로 인간의 작업에 의존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AI를 활용해 기사를 작성할 시 사실이 아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최근 미국의 IT매체 씨넷이 챗GPT를 사용해 기사 작성을 시도했으나 기사 내용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AI를 통해 교정, 교열, 기사 내용의 요약 등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팩트체크를 하는 일은 아직 거리가 먼 단계로 평가됩니다. 

한편 버즈피드는 지난해 수익성 향상을 위해 뉴스 부문을 축소하고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강화에 힘을 싣는 등 사업 방향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과연 챗GPT를 도입한 버즈피드가 앞으로 어떠한 행보를 보일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