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 사진=이성우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 사진=이성우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가 일본 블록체인 콘퍼런스 '웹X 2023'에서 블록체인 게임을 패러다임을 허물거라 말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게임 재화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고, 게임 경제와 현실 경제를 연결하고, 게임과 게임 간의 경제를 연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25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웹X 2023서 장현국 대표는 '블록체인 게임: 게임의 경계를 허물다'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날 장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이 세가지 경계를 허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첫번째 경계는 게임 아이템의 소유권이다. 전통적으로 게임 아이템은 게임에 귀속돼 있다"며 "기술적으로 게임을 떠날 수 없었고 법적으로 그들은 게임과 개발자의 재산이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게임 아이템의 소유권을 게이머에게 넘길 수 있다는 것이다.

장 대표는 "게임 아이템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토큰화되면 게이머의 자산이 된다.전통적인 소유권 경계의 붕괴는 게임 생태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유도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토크노믹스를 통한 게임 소유권의 전환에 대해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을 구축하면서 중요한 교훈을 얻었다. 게이머를 위한 토크노믹스라는 것이다. 게이머는 게임 토큰과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의 직접적인 혜택을 받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채굴과 거래는 사용자의 손에 있어야 하며 그에 따른 경제적 이익도 게이머에게 귀속되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율러 장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게임 경제와 현실 경제의 경계를 허물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성공적인 게임이 되려면 플레이하는 재미 외에도 지속 가능한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그러나 이 게임 내 경제는 기술적으로, 법적으로, 특히 경제적으로 게임 내에서 제한된다. 이 게임 안 에 잠긴 경제를 현실로 확장하고 실질적인 경제적 가치를 부여하는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이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장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이 무너뜨리고 있는 세 번째 경계는 게임 간의 경계"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게임은 고립된 섬처럼 별개의 개체로 존재해왔다. 게임 플레이, 게임 내 자산 및 경제는 모두 개별 게임으로 제한이 됐다"면서도 "블록체인 기술은 특정 게임에 얽매이지 않고 모든 게임을 연결하는 기반 기술이 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게임에 통합함으로써 한 게임의 자산을 실제 경제로 이동하거나 다른 게임으로 이동하여 해당 게임 내에서 다른 역할을 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쿄(일본)=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