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퍼블릭 섹터 데이 서울 2025' 개최
글로벌 AI 혁신, 실질적 문제 해결에 초점
데이터 주권·보안·파트너십은 AX 핵심
AWS가 공공 부문의 AI 전환(AX)을 위한 각국의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의지를 내비쳤다. 특히 "한국 정부의 'AI G3' 비전은 달성 가능한 목표이자 영감을 주는 목표"라며 혁신 파트너로서 역할을 강조했다.
AI·클라우드 혁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
아마존웹서비스(AWS)는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AWS 퍼블릭 섹터 데이 서울 2025'를 열고 전 세계 공공 부문에서 AI와 클라우드가 어떻게 혁신을 이끌고 있는지 주요 사례를 공유했다.
제프 크라츠 AWS 전 세계 공공부문·비영리·국제 산업 영업 담당 부사장은 기조연설자로 나서 "AI와 클라우드 혁신은 시민들의 실질적 문제 해결에 맞춰져 있다"며 각국의 접근 방식과 전략적 과제를 소개했다.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를 통해 교통 최적화와 공중보건 모니터링을 구현하고 있는 싱가포르 사례가 대표적이다. 또 미국 교통안전청(TSA)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사전 입국 심사에서 위험을 탐지하는 프로그램을 고도화 중이다.
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는 암 조기진단을 보조하는 임상 의사결정에 AI를 활용 중이다. 대만 재정부는 세법 검색 등에 활용해 고 규제 환경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크라츠 부사장은 "이런 흐름은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생성형 AI가 부상하면서 시민들에게 더 좋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외 협력 활발...업스테이지·뤼튼 등 'K-AI' 기업들도
유럽에서 6번째로 큰 금융 거래소인 독일 뵈르제 슈투트가르트 그룹은 63테라바이트(TB) 규모의 민감 거래 데이터를 AWS로 이전하며 규제 요건을 충족했다. 이 과정에 성능을 약 15% 더 빠르게 개선했다.
국내에서는 업스테이지가 AWS 세이지메이커, 트레이니움, 인퍼런시아 등을 기반으로 대규모 언어모델(LLM) '솔라'의 확장을 가속화 중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KPBMA)는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 'K-멜로디'를 AWS 인프라 위에 구축해 33개 기관이 민감한 의료 데이터를 외부 반출 없이 공동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가 국가 AI 연구를 위한 컴퓨팅 지원 프로젝트에 AWS를 글로벌 클라우드로 선정해 멀티모달, 의료 특화 모델 등 연구를 추진 중이다.
이밖에도 뤼튼이 한국어 기반 대화형 AI 서비스를 AWS 인프라를 통해 해외로 확장하고 있다.
AX 위해 파트너십 필요...AWS "가장 폭넓은 옵션 제공"
AWS는 공공부문 AI 전환(AX)의 근본 조건 3가지도 제시했다. ▲데이터 주권과 레지던시 ▲보안·규제 준수 ▲전략적 파트너십이 그 대상이다.
크라츠 부사장은 "정부가 데이터를 직접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AWS는 고객 데이터가 고객의 통제 아래 안전하게 운영되도록 보안과 규정을 충족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어떻게 하면 국익에 부합하는 글로벌 AI를 구축할 수 있을지 답을 찾고 있다"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하나의 방법으로 소개했다.
한국 정부의 AX 파트너로서 역할에 대해서도 "AWS는 특정 기업이 전환 과정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한계 속에서도 가장 폭넓고 깊은 옵션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또 "AWS는 2016년 서울 리전 출시 이후 64억달러(약 8조9000억원) 이상을 AI 인프라 조성과 교육 등에 투자해왔고, 앞으로 더 많은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며 지역 사회 공헌 의지도 내비쳤다.
한편 AWS 공공 부문 고객들과 함께하는 'AWS 퍼블릭 섹터 데이 서울 2025'는 교육, 헬스케어, 정부기관 3개 트랙, 총 25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현장에는 1000여명이 참석해 생성형 AI 체험 부스 'AWS 엑스포 존'과 파트너사들이 꾸린 '파트너 데모 존' 등을 즐겼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국내 거래소, '자체 체인' 경쟁 본격화…두나무 '기와' 이어 빗썸·코빗도 가세하나
- 취임 100일 맞은 이재명 대통령 "회복과 정상화의 시간...이제 도약-성장의 미래를 열겠다"
- 비트코인은 11만달러 지지선 버티기…스탠다드차타드 "ETH는 연말 7500달러 간다"
- "최대 기대작은 서브노티카2" 스팀 위시리스트에 올라온 韓 게임 기대작 살펴보니
- 최악의 가뭄에 빠진 강릉 돕는 유통업계..."ESG 경영 적극 실천"
- 이준희 삼성SDS "AI 풀스택 전략 차별화...대외·글로벌 사업 확장할 것"
- 'AI 풀스택' 전략 내세운 삼성SDS "AI 혁신 가장 잘 도울 파트너"(종합)
- 안랩, 'ISF 2025' 성료...'에이전틱 AI 기반 보안 운영 최적화' 방안 제시
- 헥토그룹, 헌혈 캠페인 '헥토앤드' 성료...난치성 질환 치료 지원
-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에 AI 접목 속도...연내 '국가 AI for S&T 전략' 발표
- KT SAT, 위성 사업 다각화 '잰걸음'…HD현대·대동 '맞손'
- [기자수첩] 플랫폼 동맹은 지렛대...결국은 '본원적 경쟁력' 끌어내야
- 이스트소프트, '국가대표 AI 정예팀' 선정 프로모션...제품 할인 및 무료 제공
- 티빙, 사내에서 챗GPT 쓴다..."국내 OTT 최초...업무 효율 향상"
- 롯데이노베이트, 그룹사 정보화전략 세미나 개최...AI 활용 혁신 사례 공유
- 네카쿠배토 대표 만나 '엔시티피케이션' 언급한 이찬진 금감원장...이용자 상생 강화 주문
- 스토리, '오리진 서밋 2025' 2차 라인업 공개...이수만부터 저스턴 선도 한자리에
- 시스코, 美 '닷컨프'서 스플렁크 ES 에센셜·프리미엄 에디션 공개
- 네이버 두나무 제휴 본격화...증권플러스 비상장' 지분 70% 품었다
- [글로벌] 엔비디아, 동영상 AI 전용 GPU '루빈 CPX' 공개...HBM 대신 GDDR7 채택
- [글로벌] "모바일 데드존 없앤다"...스페이스X, 에코스타 주파수 확보로 네트워크 100배 강화
- 업비트 유동성·네이버 플랫폼 파워…'기와체인' 앞세워 블록체인·핀테크 결합 가속
- KT 무선망 '부실관리' 정황…"불법 기지국, 6월부터 활동 1만9000여명 접속"
- 잇따른 보안 사고 속 국내 CPO 한자리에...'K-CPO 컨퍼런스' 23일 개최
- 업비트, 페이커 브랜드 영상 공개…LCK 결승전 티켓 이벤트도 진행
- 빗썸, 이화여대·금감원 주최 '금융권 채용설명회' 참여
- 엔소, 원스테이블 출시..."파편화된 스테이블코인 유동성 문제 해결한다"
- 업비트, 9월 들어 '최다 신규상장'…빗썸 점유율 반등에 맞불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