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산 산업은 우리 앞에 놓인 기회이자 위기이다. 디지털자산 산업을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이용자 보호를 전제로 디지털자산 파생상품 도입과 외국인의 국내 시장 허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5일 서울 영등포구 FKI 타워 파인홀에서 열린 '디지털 금융패권의 핵심 열쇠, 글로벌 디지털자산 플랫폼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과 이강일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인협회가 주관한 이날 행사는 글로벌 금융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경쟁력 있는 디지털자산 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날 출범한 더불어민주당 가상자산위원회 TF위원장이기도 한 이정문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당초 디지털자산 시장의 선두주자였던 우리나라는 패권 경쟁에서 점차 뒤처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며 "디지털자산 이용자는 보호화되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디지털자산 산업은 우리 앞에 놓인 기회이자 위기이다. 디지털자산 산업을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이용자 보호를 전제로 디지털자산 파생상품 도입과 외국인의 국내 시장 허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은 디지털자산 거래량이 세계의 10%를 차지할 만큼 큰 시장을 갖고 있고 세계적 수준의 블록체인 기술력, IT 인프라 경쟁력, 높은 개인 투자자 참여율이라는 분명한 강점이 있다"며 "합리적 규세 개선과 적극적인 산업 지원 정책으로 연결하면 단순한 추격자가 아니라 새로운 기회를 주도하는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미나에서는 임병화 성균관대 경영학과 교수가 '글로벌 디지털자산 패권경쟁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이어 한서희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가 '혁신을 이끌 디지털자산 플랫폼 육성책 및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승석 한국경제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임병화 성균관대 교수, 한서희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 등 해당 분야 주요 전문가들과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
관련기사
- [템터뷰] 김경업 오픈에셋 대표 "범용 스테이블코인 만들어 한국의 서클·팍소스 될 것"
- [스냅드래곤서밋] 산타누 나라옌 어도비 CEO "퀄컴 AI, '창의성의 민주화' 촉진"
- 진격의 샤오미, 국내 2·3호 스토어 오픈에 서비스센터까지 직접 설립
- 업비트 품은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두나무 빅딜설에 "확정된 바 없다"
- [스냅드래곤서밋] 알렉스 카투지안 퀄컴 본부장 "'스마트폰→인간·AI' 전환, AI 기기 100억대 시대 견인"
- [테크M 이슈] "네이버+두나무" 급부상한 이해진-송치형의 빅딜...웹3로 美中 빅테크와 승부
- 이커머스 3강 경쟁전...1강 노리는 쿠팡 vs 알리바바 더한 신세계 vs 컬리 품은 네이버
- '제2 라인 신화' 꿈꾸는 네이버 이해진...웹3 품은 콘텐츠-커머스-핀테크 '삼각편대' 글로벌 진격
- [TGS 25] 콘솔 확장 시동거는 '몬길'..."게임의 특성 따라 플랫폼도 넓어지죠"
- [TGS 25] 내년 1월 베일 벗는 '칠대죄 오리진'..."같이 게임하는 재미 느낄 것"
- [TGS 25] "살아있는 IP의 게임화, 캐릭터성을 봤죠"...도원암귀 선택 배경은 '재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