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총리 체제가 17년 만에 부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 조직개편 결과를 반영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등이 국무회의에 심의·의결됨에 따라 부총리급 부처로 승격됐다고 30일 밝혔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부총리직을 겸하며 과학기술 및 인공지능(AI) 분야의 국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이번 과기부총리 부활은 국정과제인 'AI 3대 강국 도약'의 성공적 이행을 뒷받침하고, 흩어져 있던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자원과 역량을 결집해 국가 인공지능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취지라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과기정통부는 부총리급 격상에 맞춰 조직이 확대된다. 부총리 직속으로 국장급 '과학기술·인공지능정책협력관'을 신설하고, '과학기술·인공지능 관계 장관회의'를 설치해 범부처 리더십을 강화한다.
새로운 회의체는 단순한 안건 처리형 회의가 아니라, 부총리 총괄·조정하에 국가적 노력 경주가 필요한 아젠다를 기획하고 공유함으로써 전부처의 노력을 원팀으로 묶는 실질적인 협력 플랫폼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기존 국 단위였던 인공지능 전담부서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인공지능정책실'로 확대·강화한다. 산하에는 ▲인공지능정책기획관과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을 둔다.
인공지능정책실은 국가 인공지능 정책을 기획·실행하는 핵심조직으로서, 국가 인공지능 생태계를 조성하고 범정부 차원의 인공지능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인공지능정책기획관'은 인공지능 산업 육성과 안전·신뢰 확보를 위한 국가 인공지능 정책과 법·제도를 설계하고, 인공지능 인재 양성 기능에 주력한다.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은 인공지능컴퓨팅 자원·데이터·클라우드 등 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산업·지역의 인공지능 활용 및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현재 국장급인 대변인 직위는 실장급으로 상향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조직개편은 단순한 정부조직의 변화가 아니라 과학기술 및 인공지능으로 국민의 삶은 물론 우리 경제·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이끌 국가적 대전환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새롭게 부여받은 부총리 역할을 무거운 책임감으로 받아들이며, 국민 모두가 인공지능의 혜택을 누리는 인공지능 기본사회를 실현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확실한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이끌겠다"고 밝혔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게임은 국가적 산업, 글로벌 경쟁력 높아"...제작비 세액공제 활성화 목소리 낸 게임업계
- 학계·전문가들 "원화 스테이블코인, 외환시장 안정성 가져올 것"
- ICT업계, 어워드 수상 '풍년'...기술·경영·서비스 '우리가 최고'
- 17년 방통위 역사 속으로, 내일부터 방미통위...이진숙 방통위원장 임기 종료
- 이글루코퍼레이션, AI 보안 및 SIEM 기술 특허 총 3건 취득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10 내달 14일 지원 종료...윈도11 전환 로드맵 공개
- CGV에서 KBL 경기 생중계 본다...CJ ENM, 2025-2026 시즌 프로농구 업무협약
- [FSL 통신] "세대교체가 시작됐다"...'크롱'-'우타', 강자들 꺾고 16강행
- [크립토 브리핑] 비트코인 1억6000만원선 유지...크로쓰 6% 급등
- 넷플릭스·컬리 이어 우버까지...네이버, '단골' 확보 본격화
- 李 대통령, 샘 올트먼 만난다...AI 협력관계 구축 '관심'
- 연말 나눔 활동 본격화...위메이드 "위퍼블릭으로 사랑 전해요"
- 아시아 넘어 남미까지 넘본다...조이시티, 브라질 게임쇼 통해 글로벌 정조준
- [김세진의 테크노믹스] AI기본법, 진흥의 엔진을 규제가 멈추게 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