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창작자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료로 판매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제작, 결제, 데이터 분석 등 고도화된 기술들이 적용된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 CBT(베타서비스)를 오픈했다고 13일 밝혔다.
네이버는 CBT 기간 동안 플랫폼 안정성을 높이고, 창작자와 사용자 양쪽의 피드백을 모두 검토하여 상반기 중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네이버의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은 중소상공인(SME)들이 활동하고 있는 스마트스토어와 구조가 비슷하다. 창작자가 콘텐츠를 쉽게 제작하고 유료로 판매할 수 있도록, 네이버가 콘텐츠 편집, 결제, 정산 관리, 데이터 분석, 프로모션 운영 등 콘텐츠 판매에 필요한 고도화된 툴과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기술을 손에 쥔 창작자는 콘텐츠 주제와 내용, 형식 뿐 아니라 상품 구성이나 가격 정책 등을 모두 직접 결정한다. 콘텐츠 판매 방식은 단건 판매, 정기 결제를 통한 월간 구독권, 최대 100명까지 함께 이용 가능한 그룹 이용권 등 다양한 상품 옵션 중 창작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CBT 버전에서는 밀레니얼을 위한 부동산 정보를 전하는 '부딩', 시사 주제를 깊이있게 파고드는 '북저널리즘', 글로벌 테크 소식을 쉽게 제공하는 '일분톡' 등 20여개 창작자들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다.
기존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발행하고 실험해오던 창작자 집단으로 구성돼 있으며,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판로를 확대하거나 기존과 다른 컨셉과 내용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도 등장하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사용자들은 네이버 포스트, 네이버TV, 언론사 홈 중 창작자가 원하는 채널에 신설한 '프리미엄' 탭과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 페이지를 통해 유료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네이버는 사용자들이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도록, 20여개 창작자와 함께 1개의 채널을 한달 동안 무료 체험할 수 있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김은정 네이버의 프리미엄콘텐츠 플랫폼을 담당하는 리더는 "창작자 입장에서는 특정 분야에 관심을 갖는 유료 구독자를 만나고, 이를 통해 콘텐츠 경쟁력을 높여볼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네이버가 쌓아온 기술 스택들을 더욱 고도화하면서 플랫폼의 기술력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네이버, 1Q 매출 1.5조…1년새 30% 껑충
- '중소상공인의 희망' 네이버 스마트스토어...1Q에만 45만곳 성업중
- 덩치 불리는 네이버페이, 신세계부터 넥슨까지…초록 생태계 합류
- 블로그마켓 띄우는 네이버...SNS 커머스 공들인다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카카오 '톡스토어'...온라인 소상공인 육성 소매 걷었다
- 유튜브식 실험 나선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핵심은 '취향저격' 창작 생태계
- 본격 닻 오른 '콘텐츠 구독' 전쟁...네이버-카카오 정면대결
- 넷플릭스식 '네이버' 유튜브식 '카카오'...같은듯 다른 인터넷 양강의 구독 실험
- "콘텐츠로 월수익 1000만원"...네이버가 작심하고 만든 '이것'
- 넷플릭스식 '네이버' 유튜브식 '카카오'...유료 콘텐츠 '大戰'
- 1주년 맞은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유료콘텐츠 발행 10만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