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인공지능(AI)'이 정보통신업계(ICT)의 가장 뜨거운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국내 양대 인터넷 기업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검색·쇼핑·콘텐츠 등 서비스 곳곳에 초거대 AI를 적용할 뿐만 아니라, 버추얼휴먼(가상인간)과 신약개발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도 초거대 AI를 적극 활용하고자 고삐를 쥐고 있다.
네이버·카카오가 찜한 '초거대 AI'...개발경쟁 격화
16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최근 네이버와 카카오는 초거대 AI 개발력 확장을 위해 기술 투자를 늘리고, 산학 협력을 확대하는 등 개발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 들어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도 각각 공개했다.
초거대 AI는 데이터 분석과 학습을 넘어 인간의 뇌처럼 스스로 추론하고 창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말한다. 심층 신경망 기반의 기계 학습인 딥러닝이 구현 가능해짐에 따라 인간보다 훨씬 더 빠르고 정확하게 대량의 전자 문서에서 답을 찾거나 다량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것까지 가능해진 상황이다. 이에 추론과 창작 등 영역까지 AI가 수행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주도해 설립한 '오픈(Open)AI'가 지난해 공개한 GPT-3는 초거대 AI 범용화의 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GPT-3는 인간의 뇌에서 뉴런 간 정보 전달의 통로인 시냅스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는 인공신경망의 파라미터(매개변수)를 1750억개까지 늘렸다. 이전 버전인 GPT-2보다 100배 이상 크게 늘린 것. 보통 파라미터 규모가 클수록 AI의 지능은 높아진다.
카카오의 AI 전문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은 한국어 특화 초거대 AI 'KoGPT'를 지난달 공개했다. 한국어를 사전적, 문맥적으로 이해하며 문장의 긍정 부정 판단, 긴 문장 한 줄 요약, 결론 예측, 문맥을 이해해 질문에 답변 등 과제를 수행한다. 지난 15일엔 300억 파라미터의 한국어 모델 '민달리(minDALL-E)'도 공개했다. 한국어를 구사하는 걸 넘어 명령대로 그림을 그려주는 능력을 갖췄다.
네이버는 초거대 AI 기술 개발에 먼저 뛰어든 바 있다. 네이버는 매출의 약 25%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해왔고, 특히 AI 분야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지난 5월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공개하기도 했다. GPT-3보다 한국어 데이터를 6500배 이상 학습한 초거대 언어모델이다. 언어뿐 아니라 이미지, 음성을 동시에 이해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 고도화됐다.
버추얼휴먼부터 신약개발까지...스며드는 '초거대 AI'
네이버와 카카오가 주목하는 초거대 AI에 주목하는 이유는 미래산업의 성장축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검색, 고객센터 등 기존 서비스 모델을 고도화하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론 기업 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단축할 수도 있다. 또 이 기술을 선점하지 않으면 기술을 가진 경쟁사에 종속될 위험도 있다. 신사업 구축부터 상품 설계·디자인 까지 산업 전 과정에 적용되는 탓이다.
김효정 세종사이버대학교 컴퓨터·AI 공학과 교수는 "지금의 개발 경쟁은 미래 AI 생태계 주도권 경쟁과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AI 알고리즘을 학습시키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천문학적 비용이 들기에 보통 기존 학습된 모델을 응용하는 전이학습 방식으로 AI를 개발한다"며 "결국 가장 선도적인 모델을 개발한 기업을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가 재편될 가능성이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로 신사업 구축부터 상품 설계·디자인까지 아우른다는 목표다. 검색·챗봇·쇼핑·콘텐츠 등 서비스 곳곳에 초거대 AI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네이버는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상품 리뷰 요약과 설명문 자동 작성에 활용하고 있다. 또 검색어교정·클로바노트(음성기록)·케어콜(전화콜)·AI페인터(웹툰 자동채색) 등에도 적용했다. 향후 버추얼휴먼 개발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카카오도 초거대 AI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달리'가 대표적이다. 이는 AI가 스스로 명령을 이해하고 직접 이미지를 그리는 것이다.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삽화를 만들거나, 교육 자료 제작 등에 활용하는 등 다양한 콘텐츠 산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카카오브레인은 신약 설계 기업 '갤럭스'에 50억원을 투자, 초거대 AI와 융합해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네이버 이어 카카오도 찜했다...막 오른 '초거대 AI' 주도권 경쟁
- [IF KAKAO] "게 섯거라 네이버"...카카오 '초거대 AI' 개발 뛰어들었다
- [데뷰2021] 확장하는 초록 생태계...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가 이끈다
- 카카오브레인, 그림 그려주는 '초거대 AI' 오픈소스로 공개
- 확장하는 카카오 '초거대 AI' 생태계...'갤럭스'에 50억 투자
- '초거대 AI' 힘주는 카카오브레인..."AI로 교육-헬스케어 난제 해결"
- 네이버의 AI 응집력...클로바노트-파파고로 B2C 파워 '입증'
- "사람 같은 AI, 카카오톡에 뜬다"...카카오브레인 '초거대 AI' 전략 살펴보니
- 네이버 음성검색에 초거대 AI 적용...'하이퍼클로바'로 더 똑똑해진다
- '카카오표 AI' 글로벌 종횡무진...다음 목표는 헬스케어·교육
- '초거대 AI' 힘주는 카카오브레인, 400억 수혈..."목표는 글로벌"
- '헬스케어' 힘주는 카카오브레인...AI 기술로 신약 개발한다
- 카카오브레인, 의료 '초거대 AI' 생태계 확장...고대 안암병원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