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일론 머스크가 6개월 안에 사람의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하는 임상 실험에 돌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지시간 지난달 30일 외신들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는 이날 뉴럴링크 언론 발표회를 진행했습니다. 그는 "컴퓨터 칩을 인체에 넣기 전까지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으며, 칩이 제대로 작동한다는 확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임상시험 진행에 필요한 서류 대부분을 미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며 "앞으로 6개월 안에 첫 인체 이식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임상에 들어갈 칩은 총 2가지로, 시력 회복과 운동 기능 회복을 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머스크는 "우리는 척수가 손상된 사람의 운동 기능이 회복 가능하다고 확신한다"며 "선천적인 시각 장애로 인해 태어나 한 번도 시력이 없던 이들도 시력이 회복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칩을 내 머리에 심을 계획도 있다"며 자신했습니다.

뉴럴링크는 머스크가 2016년에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입니다. 컴퓨터로 뇌의 신경 신호를 해석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뉴럴링크는 지난해 4월 뇌에 컴퓨터 칩을 심은 원숭이 실험 영상을 공개해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해당 실험에서 뉴럴링크는 원숭이가 뇌의 신경 정보만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였습니다. 당시 뉴럴링크는 "우리의 목표는 신체가 마비된 사람이 뇌 활동만으로 컴퓨터와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번 머스크의 발표에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싱 첸 피츠버그 의과대 조교수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FDA 등 정부 규제 기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지 않은 기술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으로 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애나 웩슬러 펜실베니아대 의료 의료윤리학 교수도 "윤리적인 관점에서 뉴럴링크에 대한 과장된 주장은 우려스럽다"며 "환자들이 헛된 희망을 가지게 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지난 8월 뉴럴링크는 싱크론과 물밑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싱크론는 컴퓨터 칩을 뇌에 이식하는 뇌 임플란트 기술을 보유한 뇌 과학 전문기업입니다. 협상 내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외신들은 뇌 컴퓨터 기술 부문에서 싱크론이 앞서고 있는 만큼 머스크가 직접 협상을 타진한 것으로 봤습니다.

과연 6개월 후 뉴럴링크가 어떠한 발표를 내놓을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