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전면에 배치한 새로운 카카오톡을 공개했다. 출시 15주년 만에 대대적 개편을 거치게 된 카카오톡은 독자 모델 '카나나'와 더불어 오픈AI의 '챗GPT'까지 품으며 대화 맥락을 이해하고 카카오 생태계와 연동해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슈퍼앱'으로 진화한다.
23일 카카오는 경기도 용인시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이프 카카오(if kakao)25' 콘퍼런스를 열고 이 같은 카카오톡 개편 계획을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5000만 이용자 모두를 위해 일상에 스며들어 알아서 챙겨주고 해결하고 실행해 주는 AI로 발전해 나가겠다"며 "한번 경험한 이상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카톡에서 '챗GPT' 바로 쓴다
새 카카오톡은 오픈AI와의 협업을 통해 앱 내에서 챗GPT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챗GPT는 카카오톡 채팅탭 상단에 배치될 예정이다. 챗GPT에서 검색한 결과는 카카오톡 대화방에 바로 공유가 가능하다. 하나의 앱에서 챗GPT를 통해 고품질의 AI 검색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카카오톡 생태계와도 연동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유용하 AI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검색과 이미지 및 파일 업로드, 인식 이미지 생성 등 핵심 기능 모두가 지원될 예정"이라며 "이 외에도 음성 기반 인터렉션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 역시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챗GPT는 카카오톡 AI 에이전트와도 연동된다. 이용자가 챗GPT에게 특정 요구사항을 요청할 경우 대화 맥락을 이해하고 카카오맵, 카카오톡 선물하기 등의 기능으로 연결해 준다. 가령, 친구와 카카오톡으로 대화하면서 챗GPT에게 "저녁 노을이 멋진 숙소로 알려줘"라고 요청하면 카카오 예약하기를 통해 최적화된 숙소를 추천해주고 일정도 확인해준다.
유 리더는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점진적으로 확장해 나감에 따라 사용자는 복잡한 메뉴 탐색이나 애플리케이션 간 변환 없이 원하는 작업을 즉시 실행할 수 있는 에이전트 환경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며 "카카오톡 프로필이나 톡딜, 카카오T, 카카오페이 등 카카오 그룹 서비스와의 제휴를 통한 확대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신저 넘어 숏폼·SNS로 영역 확장
카카오톡은 이번 개편을 통해 대화 기능은 물론, 검색, 콘텐츠, 소셜미디어(SNS) 등 다방면으로 서비스를 강화했다.
채팅탭의 경우 이용자의 반응을 적극 반영해 '채팅방 폴더' 기능을 추가했다. 사용자는 '안 읽음' 폴더와 더불어 최대 10개의 폴더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폴더 당 채팅방을 100개까지 추가할 수 있다. 여기에 아직 읽지 못한 채팅방 대화 내용을 '카나나'가 핵심만 요약해주는 기능도 탑재됐다.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채팅방을 목적에 따라 모아볼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청이 꾸준히 있어 왔다"며 "이러한 요청에 공감해 채팅 탭에 채팅방 폴더 기능을 추가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안 읽음' 폴더에서는 대화를 미리 볼 수도 있다. 해당 폴더에서 채팅방을 아래로 살짝 당기면 '1'이 사라지지 않은 상태로 아직 읽지 않은 메시지를 볼 수 있다. 또 음성 통화 기능인 '보이스톡'에는 AI 검색 기능 및 대화 내용 녹음 기능도 추가됐다.
세번째 탭은 '숏폼'과 '오픈채팅'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지금탭'으로 개편된다. '숏폼'은 다양한 영상을 스크롤해 보여주며 채팅방 공유도 가능해 친구와 콘텐츠에 대해 소통할 수 있다. 또 카나나를 통해 채팅방에서 주고 받은 사진을 숏폼 동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여기서 만든 숏폼은 프로필에도 적용 가능하다. 지금탭 개편을 맞아 콘텐츠를 확대하기 위해 카카오는 크리에이터 지원 제도를 구축할 예정이다.
홍 CPO는 "장기적으로 더 많은 크리에이터가 카카오톡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같은 메가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독점 지적재산권(IP) 콘텐츠를 수급하는 등 지금 탭에서만 만날 수 있은 즐거움을 넓혀나갈 예정"이라며 "크리에이터들을 위해 소비자와 연결을 넘어 수익까지 이어지는 다양한 제품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친구탭'은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와 같은 피드형으로 개편된다. 자신의 프로필에 일상이나 취향, 관심사 등을 담은 게시물들을 올릴 수 있게 되며, 공개 범위 설정을 세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대화 입력창 오른쪽에 배치된 '샵(#) 검색'은 '카나나 검색'으로 변경된다. 채팅방에서 대화만 하면 온디바이스 AI 기반으로 필요한 검색을 추천해주고 카나나가 정리된 답변을 제공한다. 또 선물하기, 쇼핑, 예약하기 등 카카오톡 기능들도 연동된다.
카나나 품은 카카오톡, 알아서 챙겨주는 'AI앱' 도약
카카오톡에는 카나나가 합세하면서 한층 더 강력한 AI 앱으로 탄생했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Kanana in KakaoTalk)'과 '카나나 검색'이 대표적이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이용자가 요청하지 않아도 먼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AI 비서다. '오늘의 브리핑'을 통해 카카오톡 대화 속 언급됐던 해야 할 일을 찾아 미리 알려주고, 맥락을 분석해 장소 선정과 예약까지 도와준다.
강지훈 카카오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내가 말을 걸지 않아도 나의 일상을 이해하고 내가 필요할 때 먼저 말을 걸어주는 AI라는 점에서 차별화됐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을 온디바이스AI로 구현해낸 만큼 보안성이 강화됐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카카오의 자체 온디바이스AI 모델인 '카나나 나노'가 탑재됐다.
강 리더는 "데이터를 외부로 보내지 않고 여러분들의 스마트폰 안에서만 작동한다"며 "이용자의 대화는 철저히 기계 안에만 머물고 그 안에서 AI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순간을 파악한다"고 말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
- [이프 카카오] 카카오톡으로 들어온 '숏폼'...수익 구조 마련해 크리에이터 생태계 조성
- [이프 카카오] "100원으로 얻는 광고 효과" 카카오 쉬운광고, 소상공인 광고 걱정 덜었다
- [LCK 결승 미디어데이] 돌아온 파괴전차 한화생명의 이유 있는 자신감
- [LCK 결승 미디어데이] "한화생명, 딱 기다려!"...젠지-KT의 날선 각오
- [KBW 25] 수이 게임 사업의 핵심은 'XOCIETY'...웹3 게임 선도하는 앤더스인터랙티브
- 하이브, 14억 인도 시장에 K팝 시스템 뿌리내린다..."5번째 현지 법인 설립"
- 웹케시,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시스템 구축..."장려금 부족분 계산 자동화"
- 파수, '2025 글로벌 AI 어워드' 최고 AI 융합 부문 후보 선정
- [이프 카카오] 카카오톡 오픈채팅, 대화 저장되는 '커뮤니티'형 신설하고 'AI 추천' 도입
- [이프 카카오] 카카오맵 '초정밀 서비스' 정확도는 물론 디자인까지 일신
- [이프 카카오] '보이스톡'으로 통화 녹음하면 AI가 요약...보안도 '확실'
- 네이버, 컬리 지분 일부 인수...커머스 경쟁력 확대 나서
- [FSL 통신] "스프링 시즌 하위권들의 반란"...'크롱'-'곽'-'TK' 승자조 합류
- [e스포츠人] 기량 되찾은 '크롱' 황세종 "커리어에 욕심 내겠다"
- [크립토 브리핑] 비트코인 약세 지속 1억5620만원선...이더리움 582만원선
- [카드뉴스] 챗GPT 도입부터 숏폼 크리에이터 생태계까지.. 카카오와 AI의 만남, 그 방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