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을 찾은 '챗GPT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연속 회동을 갖고 전방위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오픈AI는 오라클, 엔비디아, 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기술·투자 기업들과 4년간 총 5000억원(700조원)이 투입되는 메머드급 AI 인프라 구축 사업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번 방한을 통해 올트먼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핵심 기반이 될 기술력을 수혈받기 위한 전방위적 협력을 약속받았다. 한국 기업들이 오픈AI가 주도하는 글로벌 AI 대전환의 핵심 동력원으로 자리하게 된 것.
이재명 대통령도 올트먼 CEO를 만나 한국을 향한 협력 요청에 직접 화답했다. 이번 협력이 AI 기술의 선두주자인 미국과 반도체, 제조, 통신 등의 영역에 강점을 가진 한국의 '글로벌 AI 리더십 동맹'으로 이어질 지 주목된다.
삼성·SK, AI 반도체·데이터센터 전방위 협력
1일 오전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올트먼 CEO는 먼저 최태원 회장과의 오찬을 위해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을 찾았다. 1시간여 가량 오찬을 가진 후 이재용 회장과의 회담을 위해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으로 이동했다.
오픈AI는 최근 한국지사인 '오픈AI코리아'를 출범하며 국내 기업 및 정부와의 협력을 모색해왔다. 막대한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AI 3강'을 목표로 AI 투자를 서두르고 있는 한국 정부와 고성능 AI 반도체 및 데이터센터 역량을 갖춘 국내 기업들과의 협력이 절실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를 위해 올트먼은 삼성·SK와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하고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수적인 반도체 공급을 약속받았다. 오픈AI가 예상한 반도체 수요는 D램 웨이퍼 기준 월 90만 매에 달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오픈AI가 적기에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각 그룹 계열사들도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방위적 협력에 나선다. 삼성그룹에선 삼성SDS,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등이 상호 협력을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삼성SDS는 AI 데이터센터 공동 개발과 기업용 AI 서비스 제공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 회사는 국내 최초로 오픈AI '챗GPT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판매와 기술지원을 위한 리셀러 파트너가 됐다. 삼성물산과 삼성중공업은 해상에 설치하는 첨단 데이터센터인 '플로팅 데이터센터' 공동 개발에 협력할 예정이다.
SK그룹에선 SK텔레콤이 오픈AI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국내 서남권에 오픈AI 전용 AI 데이터센터를 공동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SK는 서남권 AI 데이터센터와 현재 추진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으로 동서를 잇는 AI 벨트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李 대통령 "글로벌 AI 시장 이끌 상생의 파트너십"
한국 정부도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AI 대전환 흐름에 합류, 'AI 3강'과 '아태 AI 허브 국가' 실현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올트먼은 이날 저녁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접견하고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회장과 최태원 회장도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혁명적 기술로 인류 문명의 전환을 가져오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샘 올트먼 대표의 리더십을 높이 평가한다"며 "한국은 AI 고속도로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고, 이번 한국 정부와 오픈AI 간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AI 생태계가 크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AI 확산은 반도체 없이는 불가능하고 반도체는 삼성과 SK가 글로벌 시장의 큰 축을 담당하는 만큼 세 기업이 체결한 스타게이트 메모리 반도체 공급 파트너십은 글로벌 시장을 이끌 상생의 파트너십"이라며 "오픈AI와의 협업이 국내 수출 확대, 고용 창출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픈AI와 국가 AI 대전환 및 AI 생태계 발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국내 AI 생태계 지원 ▲AI 기반의 지역 경제 발전 ▲공공 AX 전환 촉진 ▲AI 인재·스타트업 육성 등을 통해 한국이 아시아·태평양의 AI 허브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MOU를 통해 글로벌 AI 선도기업과 협력해 국가 AI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국내 AI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LG유플러스·LG헬로비전, '사회공헌+업의 본질' 눈길
- [토큰 2049] 톰리 비트마인 의장 "블록체인 금융 대전환기...70년대 금본위제 폐지 후 최대"
- '게임에 집중'...체질개선 나선 카카오게임즈, 카카오VX 매각으로 다시 뛴다
- [FSL 통신] "어서와, 16강은 처음이지"...'클러치'-'류크' 마지막 티켓 확보
- [e스포츠人] 2025년, 1승도 못했던 '류크' 윤창근의 성장
- '맛보기' 그친 소버린 AI 평가 사이트...하루 만에 개시 연기
- 카카오 AI 메이트 '카나나' 대규모 업데이트로 '환골탈태'
- "제2의 스타일러를 찾아라"…LG전자, 틈새시장 공략 확대
- 투표만 해도 포인트·기프티콘이?...CJ ONE, 추석 맞이 '원픽매치' 이벤트
- 카카오뱅크·토스뱅크, 추석 연휴 금융사기 예방책 운영
- 이스트시큐리티, 테이텀시큐리티와 '차세대 클라우드 워크로드 보호 플랫폼' 개발 나선다
- '컷츠 vs. 헬릭스 숏츠' 웹툰 업계, '숏폼'으로 저변 확대 나선다
- SK쉴더스, 신종 랜섬웨어 'ArgonWiper' 복호화 기법 공개 보고서 배포
- 자기소개부터 구인글까지 AI로...당근알바, 구인구직 진입장벽 낮춘다
- 베일 벗는 아이온2...엔씨소프트 MMORPG 새판짜기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