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네이버페이 제공
/ 사진=네이버페이 제공

네이버페이가 얼굴 인식 결제 시스템 '페이스사인'을 이용할 수 있는 오프라인 통합 단말기 'Npay 커넥트'를 정식 출시했다. 경쟁자인 토스의 얼굴 인식 결제 시스템인 '페이스페이'는 가입자 100만명을 돌파하며 시장을 선점 중이다. 네이버페이의 도전장으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 질 전망이다.


Npay 커넥트, 온·오프라인 가교 역할

18일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 통합 단말기 '커넥트'를 정식 출시하고, 전국 오프라인 매장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확대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제 '커넥트'가 설치된 가맹점에서는 네이버 리뷰·쿠폰·주문·포인트 적립 등 기존 네이버 검색·지도·페이를 통해 제공하는 다양한 오프라인 서비스들을 보다 간편하고 즉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결제 후 영수증 촬영 등의 절차를 거쳐 리뷰를 작성하거나, 네이버에서 매장 검색 혹은 네이버 지도를 통해 쿠폰을 다운로드 받아야 했다면 이제 가맹점 현장에서 커넥트를 통해 해당 서비스들을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 사진=네이버페이 제공
/ 사진=네이버페이 제공

네이버페이는 지난 9월 커넥트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서울 및 수도권, 제주 지역의 일부 가맹점을 대상으로 필드 테스트 및 서비스 점검 절차를 거쳤다. 이번 커넥트 정식 출시에서는 ▲현금·카드·QR·간편결제·NFC 뿐만 아니라 지난해 3월 네이버페이가 핀테크 업계 최초로 선보인 안면인식 결제 서비스인 '페이스사인(Facesign)'까지 다양한 결제수단 사용이 가능하고 ▲결제 후 매장에서 즉시 키워드 리뷰 작성 ▲매장에서 발급한 쿠폰 적용 ▲미니 키오스크 주문 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방문객들은 영수증 인증 없이 커넥트 기기를 통해 현장에서 간편하게 리뷰를 남길 수 있고, 가맹점은 결제 직후 방문객의 리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결제 후 커넥트 화면에 나타나는 QR을 통해 빠르게 네이버 로그인을 한 뒤 가맹점의 업종에 맞게 제시되는 키워드 리뷰를 간편하게 남길 수 있다. 오는 연말까지 커넥트를 통한 키워드 리뷰 기능 이용 시, 건당 100포인트씩 하루 최대 500포인트를 지급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가맹점들은 기존 포스(POS)기를 교체하거나 별도의 커넥트 전용 포스기를 설치할 필요없이 커넥트 단말기 설치 만으로 가맹점의 기존 포스 시스템과 직접 연동해 모든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어 번거롭지 않으면서도 비용 효율적이다. 네이버 검색이나 지도 상에서만 제공할 수 있던 쿠폰 기능을 커넥트 결제 즉시 제공할 수 있으며 추후에는 커넥트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객 대상 타깃 마케팅이 가능한 고객관리(CRM) 기능도 제공할 예정이다.

네이버페이는 베타 기간 동안 사전 신청한 약 2200여개 매장에 커넥트를 순차 설치할 계획이며, 주요 밴(VAN)사와 협력할 뿐만 아니라, iM뱅크, 제주은행 등의 주요 지방 은행과도 협력해 전국의 다양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커넥트를 만날 수 있도록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 또 커넥트는 다양한 지역화폐 결제도 가능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향철 네이버페이 페이서비스 책임리더는 "오프라인 가맹점은 '커넥트'를 통해 기존 네이버 검색과 지도를 통한 고객과의 연결을 더욱 확대하여, 매장 방문객에게 온-오프라인이 연동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며 "앞으로 '커넥트'를 통해 더 많은 가맹점들이 단골고객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을 더욱 고도화하며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스페이 100만 돌파...얼굴 결제 서비스 경쟁 '치열'

얼굴 인식 결제인 '페이스사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네이버페이의 커넥트와 같은 토스의 '페이스페이'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면서 업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토스에 따르면 얼굴 인식 기반 결제 서비스 '페이스페이'의 누적 가입자 수가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 3월 편의점 업계와 서울 일부 매장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후 약 8개월, 9월 초 정식 출시 이후 두 달 반 만에 이룬 성과다. 특히 정식 출시 시점의 가입자 수가 약 40만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후 73일 동안 하루 평균 8200명 이상이 새로 가입, 약 10.5초마다 1명이 새로 가입한 셈이다.

/ 사진=토스 제공
/ 사진=토스 제공

페이스페이는 단말기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결제가 완료되는 얼굴 인식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다. 카드나 스마트폰 없이 1초 이내로 결제할 수 있는 속도와 간편함, 그리고 차별화된 보안성을 바탕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토스 앱에서 얼굴과 결제 수단을 한 번만 등록하면 언제든지 사용 가능하다.

페이스페이는 출시 초기임에도 실제 사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2025년 11월 기준 전국 페이스페이 사용 가능 가맹점 중 절반 가까이에서 실제로 한 번 이상 결제가 발생했다. 서울 지역의 경우 전체 가맹점 중 약 79%에서 결제가 이뤄졌으며, 특히 카페 업종에서는 약 95%의 사용률을 기록했다.

토스는 차별화된 보안성을 앞세워 페이스페이 확산에 더욱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페이스페이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사전적정성 검토'를 받은 국내 유일의 얼굴 결제 서비스다. 또 ▲위변조 탐지 기술 '라이브니스(Liveness)'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얼굴 변화와 유사 얼굴을 정밀하게 구분하는 '페이셜 레코그니션 모델(Facial Recognition Model)' 등을 통해 보안 리스크를 전방위적으로 탐지하고 관리하고 있다.

토스는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콘텐츠를 통한 인지도 제고에도 나서고 있다. 이 회사가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필름 '더 파워 오브 페이스(The Power of FACE)'는 공개 한 달 만에 유튜브 조회수 300만회를 돌파하며, 페이스페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이어갔다. 이 필름은 토스가 얼굴을 차세대 결제 수단으로 선택한 배경을 인문학적 시선으로 풀어낸 콘텐츠로, 기술을 넘어 '신뢰의 본질'을 조명한 것이 특징이다. 영상에는 배우, 과학자, 예술가, AI 연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7인의 전문가가 참여해 얼굴을 '나를 증명하는 존재의 언어'로 해석했다.

토스 관계자는 "편의성과 신속성뿐 아니라, 토스가 그동안 보안에 집중해온 부분에 대한 신뢰가 페이스페이 확산의 기반이 됐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사용자가 일상에서 '결제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처와 기능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