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프린스턴디지털그룹(PDG)이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합니다. 아시아 전역에서 빠르게 확장 중인 데이터 인프라 경쟁이, 이제 인천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불붙을 전망입니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란구 살가메 PDG 최고경영자(CEO)는 인터뷰에서 "총 7억달러(약 1조200억원)를 투자해 인천에 48메가와트(MW)급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PDG의 한국 첫 진출 사업으로, 이미 전력 공급 계약을 완료했으며 이달 착공해 2028년 초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살가메 CEO는 "이번 인천 데이터센터를 시작으로, 한국 내 데이터 인프라 용량을 500MW 규모로 확대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약 60억달러(약 8조7000억원)를 추가로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PDG는 싱가포르를 비롯해 일본, 인도 등 아시아 주요 지역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5년간 250억달러(약 36조4000억원)를 투입해 전체 설비 용량을 현재 1.3기가와트(GW) 에서 4GW 로 늘릴 계획입니다. 그는 "미국에서는 AI 데이터센터 확장이 이미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지만, 아시아의 큰 파도는 앞으로 5년 안에 닥칠 것"이라며 "한국은 그 중심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PDG의 이번 아시아 확장 프로젝트에는 온타리오교원연금플랜(OTPP) 과 아부다비 국부펀드 무바달라 등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습니다. 이로써 한국은 글로벌 투자 자본이 몰리는 차세대 AI 인프라 허브로 한층 주목받게 됐습니다.
AI와 클라우드 시대,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쟁의 다음 무대가 한국으로 옮겨오고 있습니다. 과연 인천이 동북아 데이터 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가봤다] 글로벌 PC 1위 레노버, '핫플' 성수에 팝업 스토어 연 이유는
- "코인 과세 또 미뤄지나" 가상자산 투자 1000만명 돌파에도 핵심 규정 여전히 '공백'
- 삼성전자·LG전자, 신사업 확대 '잰걸음'…'B2B·D2C' 확대
- 네이버페이 '커넥트' 정식 출시...100만 가입 토스 '페이스페이'와 본격 경쟁
- [글로벌] AI 열풍의 그림자...美 버지니아·일리노이 전기요금 급등, 데이터센터 '전력 블랙홀' 우려
- [글로벌] 엔비디아 '다이나모', AWS·구글·애저·OCI 전면 통합...AI 추론 효율 10배 높인다
- 바이낸스, 블랙록 'BUIDL' 토큰화 펀드 담보 자산으로 통합
- 비트코인, 7개월만에 9만달러도 붕괴...'크립토 윈터' 오나
- "위기 넘어 AI로"...스타트업, 정부 지원 기대감 속 신성장동력 확보 박차
- 업비트, 재테크 앱 1위 달성..."코인모으기 기능으로 투자 편의성↑"
- "흥행 자신한다" 고공비행 앞둔 엔씨소프트 아이온2...출시 D-1 시장 기대감 '쑥'
- 전략 게임 명가 조이시티, '바이오하자드 서바이벌 유닛'으로 글로벌 시장 정조준
- "진정한 혁신가" 엔씨소프트 아이온2, MMO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이유는
- [MMO 게임체인저 아이온2] 엔씨 '아이온2' 한국·대만 출격...수동 전투·착한 BM으로 승부수
- 넷플릭스 쫓는 티빙, 웨이브·디즈니+와 MAU 1450만 '연합전선' 펼친다
- 스마일게이트, 베트남 국영기업 VTCO와 맞손...'스토브' 현지 진출
- 더핑크퐁컴퍼니, 코스닥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9% 상승
- 에퀴닉스, 서울-고양 분산형 DC로 회복탄력성↑...韓 파트너 확대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