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7개월 만에 9만달러 아래로...투자심리 '극단적 공포'
연준 매파 발언·AI 거품 논란 겹쳐 가상자산 약세 지속 우려
미국 자본시장 전반에서 위험자산 매도세가 확산되면서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7개월만에 9만달러 아래로 급락했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18일 오후 12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 대비 5.99% 하락한 9만580달러(한화 약 1억3142만원)을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9만달러 아래로 떨어진 이후 다시 9만달러 초반대로 올라섰지만,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15% 가까이 빠졌다.
투자전문 매체 마켓워치는 이날 비트코인 가격이 올해 상승분을 거의 반납하며 9만달러(약 1억3100만원) 초반대까지 떨어졌다고 전했다. 10월 초 12만6000달러를 찍었던 시세는 불과 두 달 만에 급락세로 전환되며 '크립토 윈터' 진입 우려를 키우고 있다. 대형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이어지면서 시세를 끌어내리고 있으며, 가격 차트상에는 단기·장기 이동평균선 교차에 따른 '데드크로스' 현상도 나타나 향후 추가 하락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 가격은 5.16% 하락한 3000달러(한화 약438만원)를 기록했다. 이더리움 시세는 지난 일주일간 19% 가까이 급락했다. 이 기간 리플(-15.74%), 비앤비(-10.28%), 솔라나(-21.28%), 도지코인(-16.33%) 등 주요 알트코인 시세도 크게 하락했다.
투자심리 지표도 급격히 위축됐다. 시장 분석기관 크립토퀀트는 주요 거래소에서 매도에 나선 투자자 대부분이 차익 실현 목적임을 지적했지만 비트코인이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지던 10만달러를 내준 시점에서 투자자들의 공포심리는 '극단적' 수준으로 평가된다.
리서치업체 카이코의 애덤 맥카티 애널리스트는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연말을 앞두고 연준 정책과 AI 거품 논란이 가상자산과 위험자산에 동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인 하이퍼스케일러, 즉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업체들이 AI 인프라 확장을 위해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고 있지만 이러한 투자가 실제 수익으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는 점이 거품 논란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미국 연준 위원들의 잇따른 매파적 발언으로 12월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긴축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상자산 투자심리에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매수로 시장 상승을 견인해온 DAT 계열 기업인 스트래티지와 비트마인의 재무 건전성과 사업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확대되고 있다. DAT 기업들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대규모로 보유하며 주식·채권 발행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가격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9만달러, 8만5000달러, 8만달러 수준에 도달할 때마다 하방 방어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비트코인이 9만달러 초반까지 급락하면서 예측시장도 상승 시나리오를 포기, 현재 시장을 구조적 붕괴로 재평가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진단했다. 매체는 "폴리마켓은 비트코인 연말 가격이 추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을 급선회했다. 다만 최근 수 주 간의 급격한 매도세가 아닌 완만한 약세를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기관 투자자는 이번 조정을 단순한 시장 성숙 과정으로 해석한다. 프런티어인베스트먼츠는 "과거 크립토 윈터와 달리 현재 시장은 거래량과 투자자 관심이 급감하지 않았고, 시세 조정은 성숙한 자산으로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단기적 가격 변동성과 투자심리 위축이 맞물리면서 가상자산 시장이 한동안 약세장을 지속할 가능성은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
관련기사
- [기자수첩] 새벽배송 금지? 그럼 3교대는요?
- [크립토 브리핑] 비트코인 1억3430만원선까지 하락...이더리움·리플 동반 약세
- "코인 과세 또 미뤄지나" 가상자산 투자 1000만명 돌파에도 핵심 규정 여전히 '공백'
- 삼성전자·LG전자, 신사업 확대 '잰걸음'…'B2B·D2C' 확대
- 네이버페이 '커넥트' 정식 출시...100만 가입 토스 '페이스페이'와 본격 경쟁
- [글로벌] AI 열풍의 그림자...美 버지니아·일리노이 전기요금 급등, 데이터센터 '전력 블랙홀' 우려
- [글로벌] 엔비디아 '다이나모', AWS·구글·애저·OCI 전면 통합...AI 추론 효율 10배 높인다
- [글로벌] 싱가포르 PDG, 인천에 1조원 규모 데이터센터 착공...2030년까지 8조 투자
- [마켓 인 싱가포르] 이창용 한은 총재 "단일 화폐 가치 법칙, CBDC에서도 예외 아냐"
- "위기 넘어 AI로"...스타트업, 정부 지원 기대감 속 신성장동력 확보 박차
- 업비트, 재테크 앱 1위 달성..."코인모으기 기능으로 투자 편의성↑"
- "흥행 자신한다" 고공비행 앞둔 엔씨소프트 아이온2...출시 D-1 시장 기대감 '쑥'
- 전략 게임 명가 조이시티, '바이오하자드 서바이벌 유닛'으로 글로벌 시장 정조준
- "AI 강국, 같이 가자"...韓 스킨십 넓히는 엔비디아
- "진정한 혁신가" 엔씨소프트 아이온2, MMO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이유는
- [MMO 게임체인저 아이온2] 엔씨 '아이온2' 한국·대만 출격...수동 전투·착한 BM으로 승부수
- "음식을 편리하고 즐겁게 만나도록" 요기요 14주년, 지속 가능 성장 약속
- 넷플릭스 쫓는 티빙, 웨이브·디즈니+와 MAU 1450만 '연합전선' 펼친다
- 스마일게이트, 베트남 국영기업 VTCO와 맞손...'스토브' 현지 진출
- KB국민은행, 연말정산 앞두고 개인형 IRP 이벤트 실시
- 업비트, 18일 메테오라 원화·비트코인·테더마켓 신규 상장
- 더핑크퐁컴퍼니, 코스닥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9% 상승
- 넷마블 마브렉스,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 상장
- 에퀴닉스, 서울-고양 분산형 DC로 회복탄력성↑...韓 파트너 확대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