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열풍이 몰고 온 데이터센터 붐이 미국 전력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AI 연산 수요가 폭증하면서 전기요금이 지역별로 급등하고, 일부 주에서는 주민 반발 움직임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CNBC 보도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밀집 지역으로 꼽히는 버지니아·일리노이·오하이오주의 전기요금이 전국 평균의 두세 배 속도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내 데이터센터 666곳이 모여 있는 버지니아주는 8월 기준 전기요금이 전년 대비 13% 인상됐습니다. 244개 센터가 밀집한 일리노이주는 15.8%, 193개 센터를 보유한 오하이오주는 12% 올랐습니다. 이는 미국 전체 전기요금 인상률인 5.1%의 2~3배 수준입니다.
특히 버지니아와 오하이오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주요 데이터 허브입니다. 이 지역에는 이미 수십만개 GPU가 설치된 데이터센터가 가동 중이며, 메타는 1기가와트(GW)급 데이터센터 '프로메테우스', 오픈AI는 오라클·소프트뱅크와 함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초대형 센터를 추가로 건설하고 있습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앤트로픽(Claude) 역시 확장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문제는 이 같은 확장이 지역 전력망과 요금 체계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입니다. AI 모델은 수십억 개의 매개변수를 학습하기 위해 방대한 행렬 연산을 수행해야 하고, 그 결과 데이터센터 한 곳이 소비하는 전력은 원전 1기(약 1GW) 수준, 즉 10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육박합니다.
이로 인해 AI 클러스터가 몰린 지역에서는 전기요금이 오르고, 일반 가정과 중소기업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버지니아 주지사 당선인 애비게일 스팬버거는 "대형 기술기업들이 그들의 전력 사용에 합당한 몫을 지불하게 하겠다"며 전기요금 인상 책임론을 제기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런 흐름을 '테크래시(Techlash·기술기업 반발 현상)' 신호로 보고 있습니다. 에이브러햄 실버먼 존스홉킨스대 연구원은 "데이터센터가 밀집된 지역일수록 '이제 더는 데이터센터를 원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테크래시는 현실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AI 인프라 확장이 국가 경제의 신성장 축으로 평가받는 한편, 그늘에서는 전력 소비와 지역 갈등이라는 새 과제가 커지고 있습니다. AI 발전과 에너지 지속가능성의 균형, 그 해법은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창작자 지원 다각화하는 네이버, UGC 확대로 'AI에이전트' 구상 힘 싣는다
- KT 리더십 교체, 티빙-웨이브 합병 새 변수 될까
- [가봤다] 글로벌 PC 1위 레노버, '핫플' 성수에 팝업 스토어 연 이유는
- "코인 과세 또 미뤄지나" 가상자산 투자 1000만명 돌파에도 핵심 규정 여전히 '공백'
- 삼성전자·LG전자, 신사업 확대 '잰걸음'…'B2B·D2C' 확대
- 네이버페이 '커넥트' 정식 출시...100만 가입 토스 '페이스페이'와 본격 경쟁
- [글로벌] 엔비디아 '다이나모', AWS·구글·애저·OCI 전면 통합...AI 추론 효율 10배 높인다
- [글로벌] 싱가포르 PDG, 인천에 1조원 규모 데이터센터 착공...2030년까지 8조 투자
- 바이낸스, 블랙록 'BUIDL' 토큰화 펀드 담보 자산으로 통합
- 비트코인, 7개월만에 9만달러도 붕괴...'크립토 윈터' 오나
- 업비트, 재테크 앱 1위 달성..."코인모으기 기능으로 투자 편의성↑"
- "흥행 자신한다" 고공비행 앞둔 엔씨소프트 아이온2...출시 D-1 시장 기대감 '쑥'
- 전략 게임 명가 조이시티, '바이오하자드 서바이벌 유닛'으로 글로벌 시장 정조준
- "진정한 혁신가" 엔씨소프트 아이온2, MMO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이유는
- [MMO 게임체인저 아이온2] 엔씨 '아이온2' 한국·대만 출격...수동 전투·착한 BM으로 승부수
- 넷플릭스 쫓는 티빙, 웨이브·디즈니+와 MAU 1450만 '연합전선' 펼친다
- 스마일게이트, 베트남 국영기업 VTCO와 맞손...'스토브' 현지 진출
- 더핑크퐁컴퍼니, 코스닥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9%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