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둘째주 가상자산 동향

비트코인부터 알트코인까지 가상자산 가격이 전주 대비 모두 상승했다. 특히 비트코인은 6600만원을 돌파하면서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더리움도 흐름을 같이 했다. 미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유독 리플 가격만 지난주보다 떨어졌다.

더불어 클레이와 링크 가격은 지난주보다 각각 71%, 32% 씩 대폭 상승해 눈길을 끈다.


신고가 경신한 비트코인

비트코인 차트 / 사진=빗썸
비트코인 차트 / 사진=빗썸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 따르면 13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전주 동시간 대비 17.27% 상승한 개당 6640만1000원에 거래됐다. 지난 8일 미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비트코인이 5900만원대에 거래됐다. 이후 경기부양책이 승인되면서 지난 12일 비트코인 가격은 6600만원대를 돌파해 신고가를 경신했다.

지난 6일 미국 상원을 통과한 1조9000억달러(약 2163조원) 규모 대규모 경기부양책은 10일 미 하원을 통과,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최종 승인까지 일사천리로 이뤄졌다.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 전망도 이어졌다. 지난 11일(현지시각) 전 미국 백악관 선임 경제 고문이 "비트코인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말한데 이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내 친가상자산 성향 '헤스터 피어스' 위원이 게리 겐슬러가 SEC 위원장에 정식 취임하면 가상자산 업계에 좋을 것이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또한 유럽중앙은행(ECB)은 기준금리를 0%로 동결했다.

이에 더해 외신에 따르면 지난 12일(현지시간) 세계 3대 헤지펀드 중 하나인 영국 맨그룹(Man Group)의 루크 엘리스(Luke Ellis) 최고경영자(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보유량을 두 배로 늘렸다"고 말했다. 같은날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최고경영책임자(CEO)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비트코인 262개를 추가 매입했다"고 밝혔다. 약 1500만 달러 규모다. 

또 그는 "12일 기준 마이크로스트레티지는 비트코인 9만1326개를 매수 및 보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관투자자들의 지속적인 투자도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200만원 재돌파했지만 횡보중인 이더리움

이더리움 차트 / 사진=빗썸
이더리움 차트 / 사진=빗썸

이번 미국 경기부양책은 이더리움 가격에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이더리움은 전주 동시간 대비 15.47% 상승한 개당 205만2000원에 거래됐다. 지난 9일 200만원대를 재돌파한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는 듯했지만,  200만원 초반대를 횡보하는 중이다.


경기부양책도 소용없는 리플

리플 차트 / 사진=빗썸
리플 차트 / 사진=빗썸

반면 리플은 전주 동시간 대비 3.37% 하락한 개당 510.1원에 거래됐다. 이번주 초 미국 경기부양책 임박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는 듯 보였으나 지난 11일 하락세로 돌아섰다.

외신에 따르면 지난 1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에 대한 리플랩스의 방어 논리가 부적절하다는 공식 서한을 재판부에 제출했다. 이같은 이유를 들어 SEC 측은 법원에 리플 측의 '공정한 고지'(fair notice) 방어 태세와 리플 임원들이 제기할 반박 근거를 기각해줄 것을 요청했다. 미국 SEC 측 변호인은 "리플은 XRP의 미등록 증권 발행에 대한 책임을 에이전시로 전가해 책임을 회피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고가 경신중인 클레이

클레이 차트 / 사진=코인원
클레이 차트 / 사진=코인원

대표적인 토종 가상자산, 카카오 클레이튼의 클레이는 전주 동시간 대비 71.03% 상승한 개당 2779원에 거래됐다. 지난주 1600원대를 횡보하던 클레이는 이번주 들어 상승세를 이어왔다. 지난 12일 2000원대를 재돌파한 클레이는 13일 2700원대를 넘어서면서 신고가를 경신했다.

지난 10일 클레이튼을 운영하는 그라운드X 한재선 대표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활용해 클레이튼의 비전을 제시하고, 투자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이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라인 링크는 전주 동시간 대비 32.67% 상승한 개당 56.76달러에 거래됐다. 이번주 라인 가격은 55~60달러대를 등락하며 횡보했다. 지난 1일 라인과 야후재팬의 합병 이슈로 가격이 상승했었으나 지난 6일 상승분을 반납했다. 하지만 다음날인 7일 다시 상승하면서 50달러대를 유지중이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