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가격이 상승세를 탄 가운데, 올해 국정감사에서 가상자산 거래소의 불명확한 상장·상장폐지 기준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그 기준이 A4 용지 2장도 안 된다는 것이다.
6일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상자산 거래소의 상장·상장폐지 기준을 비판했다. 업비트에 상장된 가상자산이 298개였고 이를 통해 받은 수수료가 4조원인데, 이중 상장폐지 된 가상자산이 145개나 된다는 것이다.
민병덕 의원은 "상장폐지 가상자산으로 3140억원을 벌었다"며 "업비트가 점유율 80%인데 그 이유가 알트코인, 잡코인이라고 하는 가상자산까지 다 상장시켜서 그런거라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무분별하게 가상자산이 상장돼 2년 6개월 동안 상장폐지될 가상자산이 거래됐다는 것이다. 또 그는 "상장과 상장폐지 기준이 없는 것 아니냐"며 "업비트가 3140억원 수익을 낼 동안 상장폐지 된 가상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는 엄청난 손실을 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병덕 의원은 업비트의 상장·상장페지 기준이 담긴 서류를 보여주며 "채 2장도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런 기준으로 상장과 상장폐지를 결정하는 것이 문제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고승범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이용자 피해가 나타나는 부분을 최소하해야 한다"며 "이런 부분이 국회에서 가상자산 관련 법안 재정에서 논의됐으면 좋겠다"며 "가상자산 상장·상장폐지 관련해서 금융위도 논의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이 악문 업비트, 가상자산 24종 전격 '숙청'…시장자정에 총력(종합)
- 더민주 노웅래 "가상자산 상장·상폐 멋대로...거래소도 책임있다"
- 코인원, 상장·상장폐지 기준 공개…"건전한 거래 문화를 만든다"
- "거래소 줄폐업하면 '김치코인' 42개 사라진다"...투자자 피해 약 3조원 '우려'
- 원화마켓 닫은 25개 가상자산 거래소, 살아남긴 했지만...거래량은 '참혹'
- 블록체인협단체연합회, 산업발전과 투자자 보호 위해 실명계좌 발급 촉구
- [국감 2021 미리보기-블록체인] 뜨거운 감자 '실명계좌'...국감서 실마리 찾을까
- 1호 가상자산 사업자는 업비트...상장피 논란엔 "받은 적 없다"
- [국감 2021] 고승범 금융위원장 "실명계좌 발급은 은행이 할일, 국회와 업권법 상의하겠다"
- [국감 2021] 고개 숙인 한성숙 네이버 대표 "직장 내 괴롭힘, 철저하게 재발방지"
- [국감 2021] 고승범 금융위원장 "가상자산 업계와 소통 창구 만들겠다"
- [국감 2021] 실명계좌도 소통문제도...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업권법' 핑계만
- [국감 2021] 권칠승 중기부 장관 "올해 유니콘 15개, 제2 벤처붐 만들 것"
- [국감 2021] 이해진-김범수는 절대악? 사라진 '소비자 선택권'에 국회도 분통
- [국감 2021] '로톡-닥터나우' 힘 받나...권칠승 중기부 장관 "전문직 플랫폼, 규제 풀어야"
- [국감 2021] 윤창현 의원 "업비트 독점 심화...가상자산 거래는 여전히 사각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