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형 라온시큐어 의장, 초연결 인증 플랫폼 기업 자신
고도화된 사이버 보안 기술력·방대한 업계 경험 등 경쟁력

이순형 라온시큐어 의장(대표이사)이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시큐업&해커톤'에 참석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그는 AI와 디지털 신원인증(DID) 기반의 초연결 인증 플랫폼 기업으로서 미래 데이터 주권을 선도해나가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사진=임경호 기자
이순형 라온시큐어 의장(대표이사)이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시큐업&해커톤'에 참석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그는 AI와 디지털 신원인증(DID) 기반의 초연결 인증 플랫폼 기업으로서 미래 데이터 주권을 선도해나가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사진=임경호 기자

라온시큐어가 웹3 생태계와 AI의 상호보완성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신원인증(DID) 기술 비전을 공개했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의장(대표이사)은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시큐업&해커톤'에 참석해 "AI와 DID 기반의 초연결 인증 플랫폼 기업으로서 미래 데이터 주권을 선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웹3 생태계와 AI 융합을 통한 데이터 주권 및 초연결 사회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라온시큐어가 개최했다. 주제는 '웹3와 AI로 연결되는 미래'다. 이 의장은 인사말을 통해 본격적인 행사의 시작을 알렸다.

그는 "화이트해커 기업에서 정보보호 통합 솔루션 기업으로, 사이버 보안을 넘어 제로트러스트 시장을 선도하는 것이 라온시큐어의 비전"이라며 "세계 3대 해킹 방어대회를 석권한 최고의 화이트해커 기술력이 우리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2000만명 이상의 파이도 생체인증 사용자 경험과 1000만명 이상의 AI·딥페이크 백신 사용자 경험, 구글·삼성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관리(EMM) 공식 파트너 경험이 자산"이라고 말했다. 이를 바탕으로 ▲양자내성암호(PQC) ▲영지식증명(ZKP) ▲DID ▲다요소 인증(MFA) 기반 제로 트러스트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설명이다.

오픈 DID 확산을 통한 사회 공헌 계획도 공개했다. 이 의장은 "전세계 10억명 이상이 공식적인 ID가 없어 정치, 교육, 복지 등 행복 추구를 위한 가장 기본적 권리마저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며 "라온시큐어는 DID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덧붙였다.

웹3 생태계와 AI 기술 융합을 통한 데이터 주권 확보 방안도 소개했다. 그는 "AI 기술을 활용할 때 가장 큰 위협이 '빅 브라더'에 의한 정보 독점 및 악용 우려"라며 "데이터 주권 확립을 기반으로 한 웹3 생태계가 이를 보완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스마트컨트랙트 같은 것들이 탈중앙 환경에서 자율의사결정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느냐는 것이 웹3 환경의 우려 지점"이라며 "이런 우려는 AI 기술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 예측, 최적화로 웹3 탈중앙환경에 자율 의사결정구조를 완성해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의장은 "소버린 AI도 웹3와 AI의 융합에서 시작된다"며 "이들이 보완하며 상호발전해나가는 것이 필연적인 흐름"이라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