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리그 구조를 개편했던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가 2026 시즌에는 팬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소폭 변화를 줄 예정입니다.
이번 개편안에는 정규 시즌에 긴장감을 더하기 위해 일정을 압축하는 안을 비롯해 LCK컵에 '슈퍼 위크'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변화가 포함돼 있습니다.
LCK컵에 '슈퍼 위크' 도입
2025년 처음으로 도입된 LCK컵은 정규 시즌에 참가하는 10개 팀의 전력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대회로, 그룹 대항전과 플레이-인, 플레이오프 순서로 진행됩니다. 그룹 대항전에서 10개 팀은 장로 그룹과 바론 그룹으로 편성되어 상대 그룹과 대결을 펼치고 승리 시 1점의 포인트를 얻으며 그룹 성적에 따라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에 배치됩니다.
대회 방식의 큰 흐름에 변화는 없지만 2026년에는 LCK컵 3주 차에 상대 그룹의 같은 순번으로 지목된 팀과 맞대결을 펼치는 '슈퍼 위크'를 편성, 팬들에게 보는 재미를 더했습니다.
슈퍼 위크 기간에 진행되는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해당 경기에서 승리하는 그룹은 승리 포인트 2점(슈퍼 위크 이외 경기의 승리 포인트는 1점)을 획득함으로써 그룹 대항전 마지막 순간까지 승리 팀을 예측할 수 없는 긴장감을 선사할 예정입니다.
LCK컵 플레이오프도 압축 진행
2026년 LCK컵의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포스트 시즌) 운영 방식도 소폭 변경됩니다. 2025년에는 승자 그룹의 1위부터 3위까지가 플레이오프에 직행했지만 2026년에는 승자 그룹의 1위와 2위, 패자 그룹의 1위가 플레이오프에 직행합니다.
포스트 시즌 동안 상대를 지목하는 방식도 바뀌었습니다. 기존에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 1시드 팀이 상대를 지목했지만 2026년에는 플레이-인 2라운드 1시드 팀과 플레이오프 1라운드 3시드, 플레이오프 2라운드 1시드팀에게 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집니다.
플레이오프의 경우 2025년에는 2라운드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이 적용되며 총 8경기가 진행됐지만 2026년에는 1라운드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적용함으로써 총 10경기로 늘어났습니다.
LCK 정규 라운드, 4라운드로 압축
2026년 LCK 정규 시즌은 4라운드로 축소 운영됩니다. 2025년과 마찬가지로 1, 2라운드 기간 동안 10개 팀은 두 번씩 맞대결을 펼치며 순위에 따라 상위 5개 팀이 레전드 그룹, 하위 5개 팀이 라이즈 그룹에 편성됩니다.
2025년 레전드 그룹과 라이즈 그룹을 분리 운영했을 때 레전드 그룹에서는 상위권 팀들이 이름에 걸맞는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라이즈 그룹에서는 플레이-인에 출전하기 위해 마지막 경기까지 사력을 다하는 진정성을 보여주며 의미 없는 경기가 거의 없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026년 네개의 라운드로 축소한 이유는 아시안 게임에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2026년 일본의 아이치-나고야에서 열리는 아시안 게임에 LoL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LCK를 축소 운영해야 하는 상황을 맞았고 LCK는 한국 대표로 출전하는 선수들의 대회 일정은 물론, 호흡을 맞출 수 있는 기간까지 배려해 대승적인 차원에서 정규 시즌과 플레이-인 일정을 축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 일정 3주로 줄인다
정규 라운드를 마친 뒤 열리는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가 압축적으로 진행됩니다. 2025년 정규 라운드가 끝난 이후 우승자가 나오기까지 4주 동안 플레이-인과 플레이오프가 진행됐지만 2026년에는 3주로 줄이면서 일정을 압축적으로 소화하기로 했습니다.
레전드 그룹 5위와 라이즈 그룹 1~3위가 출전하는 플레이-인의 방식이 소폭 변경됐다. 2025년 네 팀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대결을 펼쳤지만 2026년에는 레전드 그룹 5위와 라이즈 그룹 1위가 1라운드에서 대결, 승리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직행하고 라이즈 그룹 2위와 3위가 맞붙어 이긴 팀이 1라운드 패배팀과 최종전을 치러 플레이오프에 합류하는 팀을 가립니다.
플레이오프 패자조 2라운드 진출팀을 가리는 방식도 변경됐다. 기존에는 1라운드 패자조에서 승리한 팀과 2라운드 1, 2경기 패배팀 중 정규 라운드 순위가 낮은 팀이 패자조 2라운드에 올라갔지만 2026년에는 2라운드 1, 2경기 패배팀 중 플레이오프 시드가 낮은 팀으로 바뀌었다.
이소라 기자 sora@techm.kr
관련기사
- 민간 클라우드, 공공 DR 대안 되려면..."PPP형 확대·보안정책 연계 필요해"
- [테크M 리포트] 엔씨소프트 주가하락 걱정없다...반등 점치는 증권가, 이유는
- 게임업계, 지속가능경영 경쟁력 높인다...ESG·문화유산 보존까지 영역 확장
- '10조 IPO' 향하는 무신사, 글로벌 멀티플 더한다...K-패션 대표주자로 우뚝
- '구마유시' 이민형 빈자리, '페이즈'가 채웠다...T1, '도오페페케' 라인업 완성
- [템터뷰] 30돌 솔리드웍스, "AI로 제조 경쟁력 새 시대 연다"
- 사우디로 날아간 이해진, '디지털 화폐·데이터센터' 협력 논의
-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 과기정통부 'AI반도체 팜 구축 및 실증' 사업 완수
- 수퍼톤, TTS 모델 '수퍼토닉' 오픈소스 공개...'소나 스피치 2t'도 연내 선봬
- 신세계I&C, 한국ESG기준원 평가서 3년 연속 통합 'A' 등급
- 더존비즈온, 삼일PwC와 공동 세미나...그룹사 통합 경영관리 성공사례 조명
- '일상 속 가상자산' 파고드는 빗썸...K팝·치맥·체험형 이벤트로 MZ 공략
- [크립토 브리핑] 비트코인 1억2770만원선...7개월만에 최저치
- "신규회원 가입하면 1비트코인 쏜다"...업비트, 블랙프라이데이 이벤트 풍성
- 한국 크리에이터와 동행하는 로블록스...성장 위한 생태계 강화 '앞장'
- 7개월 만에 주저앉은 비트코인…시장은 '경고등'
-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비단, '모바일 앱' 리뉴얼
- 밀크파트너스, GPS 기반 리워드 기능 '밀크 스텝' 12월 출시
- 넷플릭스-콘진원, 콘텐츠 전문 인력 교육 성료...누적 2300여명 수료
- 김종윤 야놀자클라우드 대표, 국가인공지능전략위 자문위원 위촉
- STO 법안, 여야 공감대 속 24일 법안소위 심사...시장 개화 기대감 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