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STC 2025' 개최…AI 성과·동향 공개
SKT,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워크숍…외부 의견 청취
LG유플러스, 'AI 오토 QA' 출시…AICC 영업 강화

삼성전자는 20일 AX를 주제로 'STC 2025'를 개최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20일 AX를 주제로 'STC 2025'를 개최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 SK LG가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전자의 AI 성과와 국내외 AI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SK텔레콤은 정부 '독자 AI 파운데이션(기초) 모델'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LG유플러스는 판매 가능한 AI 설루션을 확대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 SK LG는 AI 시대 기회를 잡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삼성 테크 콘퍼런스(STC) 2025'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 자리는 삼성전자가 주목하고 있는 기술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나누는 행사다. 이번에는 'AI 전환(AX)'을 주제로 잡았다. ▲AI 에이전트 ▲로봇 AI ▲차세대 보안 ▲통신 등 선행 기술부터 상용화 기술까지 다양한 성과와 비전을 안내했다.

전경훈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은 "AI는 이미 단순한 도구가 아닌 일상과 업무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며 "디지털 전환(DX)을 넘어 AX라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AI 기반 차세대 보안 혁신 ▲지능형 소프트웨어(SW) 플랫폼 진화 ▲AI를 활용한 로봇 기술의 도약 ▲오픈소스 AI의 생태계 확장 4가지를 AX 시대 4개 핵심으로 꼽았다.

기술 세션에서는 ▲통신 ▲헬스케어 ▲보안 ▲사물인터넷(IoT) 등에 AI를 적용한 사례 40여건을 발표했다. ▲보이스피싱과 악성 앱 AI 자동 탐지 ▲AI 기반 고전 영상 고화질 복원 ▲30분 만에 '갤럭시 XR' 콘텐츠 제작하기 ▲온디바이스(기기 내부 처리) 오디오 지우개 ▲무선 통신 기지국 AI 품질 최적화 등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8월 미국 정부가 주최한 보안 경진 대회 'AI 사이버 챌린지(AIxCC)'에서 우승한 삼성리서치의 AI 보안 기술 리더십과 향후 연구 방향도 개방했다.

SK텔레콤은 18일 '2025 파운데이션 모델 테크 워크숍'을 가졌다/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18일 '2025 파운데이션 모델 테크 워크숍'을 가졌다/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지난 18일 서울 성동구 SK텔레콤 정예팀 워룸에서 '2025 파운데이션 모델 테크 워크숍'을 가졌다.

SK텔레콤은 지난 8월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후보군(정예팀) 5개 컨소시엄에 뽑혔다. SK텔레콤 컨소시엄은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과 힘을 모았다.

이번 행사는 컨소시엄 외부 AI 관계자와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했다. ▲대규모 모델 학습(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선행 연구(서울대·KAIST) ▲AI 반도체(리벨리온) ▲현업 응용 사례(크래프톤) 등을 전달했다.

김태윤 SK텔레콤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SK텔레콤 정예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이 추구하는 개발 철학에 대해 워크숍 참가자와 교감하고 사용자 시각에서 갖고 있는 궁금증도 풀어볼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이강욱 크래프톤 AI 본부장은 "이번 워크숍은 SK텔레콤 컨소시엄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국내 AI 연구자와 산업계가 함께 협력의 기반을 다진 뜻깊은 자리였다"며 "크래프톤은 앞으로도 국내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LG유플러스는 20일 LLM 기반 'AI 오토 QA'를 출시했다/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20일 LLM 기반 'AI 오토 QA'를 출시했다/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20일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고객센터 상담사 교육용 설루션 'AI 오토 질의응답(QA)'를 공개했다. LLM은 서로 다른 LLM을 혼합 미세조정(파인튜닝)했다.

상담사 전화 상담 품질을 검수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사람이 할 경우 일부 상담만 최대 1주일 걸리던 과정을 전체 상담에 대해 실시간으로 살필 수 있게 됐다. 우선 고객센터 전화 상담에 적용했다.

예를 들어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제가 있으십니다" 등 잘못된 존칭과 공감 표현 등을 "5G 요금제가 있습니다"로 바로 잡아주는 식이다. 상담사 교육 과정에서 반복 평가는 AI에게 맡기고 노하우 등 전수에 인력을 집중할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는 이 설루션의 외부 공급도 모색할 방침이다. AI컨택센터(AICC)는 LG유플러스의 주요 AI 사업 중 하나다.

서남희 LG유플러스 고객가치(CV)담당은 "해당 기술은 특허 출원을 마치고 모든 상담사의 평가와 코칭에 활용 중"이라며 "LG유플러스의 고객가치 증대는 물론 고객센터를 운영하는 타 기업도 사용할 수 있도록 영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