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K-콘텐츠 영향력 확대 유일한 창구
국내 플랫폼, 낮은 리쿱율에 콘텐츠 지속성 도마
강력한 로컬 OTT 탄생·정부 직접 투자 등 대안
K-콘텐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영향력을 지속·확대하기 위해 넷플릭스의 독주 체제를 견제할 수 있는 대안 플랫폼 마련이 시급하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을 위해서는 콘텐츠의 가치 평가가 제대로 이뤄져야 하고, 티빙-웨이브 합병이 이를 위한 유효한 경쟁 체제 마련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K-콘텐츠는 아시아용"...대안 필요성 부상
조영신 동국대 대우교수는 11일 "오늘날 압도적인 경쟁력을 자랑하는 넷플릭스 없이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콘텐츠의 존재감을 발휘하기는 어렵다"며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을 대안 마련의 시작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케이팝 데몬 헌터스 모멘텀 어떻게 살릴 것인가' 간담회에 발제자로 참석해 '국내 OTT 육성을 위한 K-콘텐츠 경쟁력 확보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시장 선두주자인 넷플릭스를 당장의 경쟁 상대로 여기기 보다 이런 환경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환경 조성에 주력해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발표의 핵심이다. 이를 위한 조건으로 강력한 로컬 OTT의 탄생을 제시하며 넷플릭스의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케데헌'이 유발한 막대한 산업적 가치를 예시로 들며 "그 원천이 되는 영상 시장이 국내에서 침몰 위기에 처해있다"고 진단했다. 그 배경에는 가격으로 인한 낮은 시장 경쟁력이 자리했다.
그는 "아시아에선 소득 수준이 낮아서 비싼 가격을 지불할 수 없고, 북미나 유럽에선 니치마켓용으론 너무 비싸다는 평가가 나온다"며 "산업적 관점에서 K-콘텐츠는 한국 시장의 허들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로컬 OTT 경쟁력이 콘텐츠 경쟁력으로 연결
문제는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를 위한 등용문 역할을 넷플릭스가 유일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조 교수는 "(비슷한 장르물 중) 일부 지역에 분포된 디즈니+의 '강남 비 사이드'와 광범위하게 분포된 넷플릭스의 '광장' 글로벌 분포도를 비교하면 플랫폼이 콘텐츠 확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명확히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콘텐츠 수익성 측면에서의 과제도 제시했다. 그는 "티빙 오리지널의 경우 평균 리쿱율(회수율)이 30~40% 수준으로 제작사가 넷플릭스에 가지 않으면 작품을 만들 때마다 손해가 쌓이는 구조"라며 "이런 유통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현 단계에서 어떤 논리도 통용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티빙이 얼마 전 HBO 맥스, 디즈니+와 계약을 맺으면서 해외 판로가 생겨 리쿱율을 70% 수준까지 회복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추가적으로 북미와 남미 시장을 통해 리쿱율을 100%까지 올리면 티빙이 오리지널 콘텐츠를 다시 만들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로컬 OTT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리쿱율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며 "넷플릭스로 가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넷플릭스의 선택 없이도 K-콘텐츠가 티빙으로 글로벌에서 성공하는 사례를 만들어 유효한 경쟁 체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넷플릭스에서 우리 콘텐츠를 살 때 제값을 주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넷플릭스 독주 체제, 티빙-웨이브가 견제해야
조 교수는 넷플릭스의 1사 독주 체제를 막기 위한 방안으로 티빙-웨이브(합병)가 대안 플랫폼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1사 독주 체제가 되면 제작편수가 2023년 대비 절반까지 감소하면서 콘텐츠 다양성이 줄어들고, 이에 따른 제작사 수익성 악화가 시장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합병이 지연되는 사이 글로벌 콘텐츠 시장 후발 주자도 K-콘텐츠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 조 교수는 "태국 콘텐츠가 최근 넷플릭스 비영어권 4위, 글로벌 톱10에 진입하는 사례가 생겼다"며 "현지 제작비가 우리 콘텐츠의 5분의 1 수준이라고 하니 넷플릭스가 해당 시장에 2400억원을 투자하는 것이고, 이런 사례가 쌓여 저가 경쟁으로 치고 들어오면 방법이 없어진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방송 입법 체계 중심을 OTT로 전환하는 등 국회 차원의 정책적 노력도 필요하다"며 "OTT에게도 방송통신발전기금 부과 대상을 지정하거나 (민간 자본이 손해를 감수하고 들어오기 어려운 분야에) 정부가 1조원 단위의 직접 투자 재원을 마련해 콘텐츠 제작 주기에 맞는 지원을 이어나가는 안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정리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위믹스 포인트] 위믹스 챔피언십 출전 24명 명단 확정...고지우 불참, 최은우-마다솜 출전
- 하이브, 역대급 매출에도 신인 IP 투자로 영업손실...내년 BTS 활동 재개(상보)
- 하이브, 신규 IP 데뷔로 숨고르기...2026년 BTS 완전체·사업 개편 효과 가시화(종합)
- 3Q 부진한 한샘, 흑자 기조는 지켰다...유통 채널 개편 '집중'
- [테크M 이슈] 배틀필드6 넘어선 넥슨 '아크 레이더스' 제2의 던파 신화 스타트
- 배달앱 지각변동...'배민' 멈춘 사이 '쿠팡이츠·땡겨요' 상승세
- 30돌 SAP코리아 "AI·클라우드 솔루션으로 韓 기업 디지털 혁신 가속"
- [테크M 이슈] 위기 속 빛난 카카오게임즈의 책임 경영...'가디스오더' 리스크에도 이용자 신뢰 굳건
- 호실적 거둔 더블유게임즈, 3Q 연결 매출 1862억...1년새 21% '껑충'
- S2W, 글로벌 보안 기업 엑사빔과 맞손...상장 후 첫 해외 파트너십
- [글로벌] 中, 갈륨·게르마늄 수출 통제 중단...미중 무역 갈등 완화 신호
- [글로벌] 美 소매업계, 연말 고용 '얼어붙다'...2009년 이후 최저 수준
- [글로벌] "원수에서 절친으로" 법원, 구글·에픽 합의에 제동...공익 부합 따져 본다
- SGA솔루션즈, 금융보안원 정보보호 컨퍼런스 참가...자율보안체계 구축 제시
- 스틸리언, 놀유니버스 'NOL' 앱에 보안 솔루션 '앱수트' 공급
- SK AX, 북미 자동차 부품 공장 AX 물류 자동화 시스템 구현
- 엠로, 'IC3 2025'에 부스 연다...구매 특화 에이전틱 AI 기능 소개
- 한컴 '웹한글 기안기 V3.0' 굿 소프트웨어 인증 최고 등급 획득
- 하이브, 제4회 글로벌 리더십 서밋 개최...6개 지역 법인 인사이트 공유
- 구글 지도 데이터 반출 또 '유보'...업계 "근본 대책 없인 불안감 여전"
- 헥토파이낸셜,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 참가..."스테이블코인 협력 방안 논의"
- 안랩 ASEC 소속 연구원, 디지털포렌식 대회서 팀 단위 수상
- 한싹, 알서포트와 'AI 전환·제로 트러스트' 사업 협력
- 마키나락스, 기술특례상장 기술성평가 'A, A' 등급 획득...내년 상반기 기업공개
- 이세영 뤼튼 대표, 국회 미래교육포럼 참석..."K-AI 리터러시 교육 추진해야"
- 넥슨의 초대형 IP '아크 레이더스' 들썩...글로벌 판매량 400만장 찍었다
- 넥슨, 3분기 영업익 3524억원...시장 전망치 달성(1보)
- 넥슨, 3Q 'IP 성장 전략' 통했다...글로벌 바통터치는 '아크 레이더스'가 받는다(상보)
- 이스트소프트, 3Q 영업손실 45억원...AI 투자로 손실 폭 확대